7년 이상 소요…앞으로 3년 중요
자금・인력 갖춘 기업 역할 필요
한전, 신안・서남해에 18조 투자
글로벌기업들 국내시장에 눈독

오는 2030년까지 12GW 용량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건설해야 하지만 한전의 참여를 둘러싼 전기사업법 개정을 놓고 민간업계와 한전이 샅바 싸움을 벌이면서 재생에너지 핵심사업인 해상풍력이 좌초되지 않겠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온다.

그동안 국내 해상풍력은 한전 등 발전공기업이 참여해 공공 주도로 해왔고, 앞으로 70조원가량 되는 대형사업에서 자금력과 인력, 기술이 있는 한전 등 공공의 역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에서 상업 운전 중인 해상풍력은 총 124.5MW다. 한전과 발전회사가 모두 참여했다. 현재 진행이 가장 빠른 한림해상풍력도 한전이 주도하고 있다. 2030년까지 10년 동안 12GW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매년 1GW 이상을 건설해야 한다.

해상풍력은 입지발굴, 인허가, 설치 등에 7년 이상 소요되는 만큼 정부는 사업의 성공 열쇠는 앞으로 3년의 결정에 달려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는 영역 싸움을 할 때가 아니라는 얘기다.

한전은 100MW 규모의 한림해상풍력을 추진하고 있다. 투자되는 돈이 6000억원이다.

또 신안에 1.5GW 용량의 해상풍력을 추진한다. 투자비는 9조7000억원가량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남해 해상풍력도 1.2GW에 8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석탄과 원전은 대규모 집중형이고 재생에너지는 분산형 전원이기 때문에 공기업 주도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지만 여전히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기 때문에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는 공기업이 하는 것이 경제적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공기업과 민간기업이 참여한 석탄화력의 경우 건설에 필요한 투자비를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발전공기업이 참여한 100만kW 표준석탄 건설비와 민간이 참여한 표준건설비가 1조원가량 차이가 발생하면서 민간발전사들의 수익률 하락이 예상돼 법적 소송까지 예상되는 상황이다.

이렇듯 민간과 공공개발의 경우 수익률을 둘러싼 신경전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70조 프로젝트’인 해상풍력을 올곧이 민간 및 해외기업에 맡기는 것은 향후 국민들 부담으로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

한전은 국내에서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을 발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해외 전력 유틸리티와 재생에너지 시장을 놓고 경쟁을 벌인다는 복안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