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대책 전담조직 신설, 건설기간 단축, 접속 허용 용량 확대 계획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가 증가해도 계통 연계 때문에 발전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한전이 계통연계를 늘리기 위해 대책을 마련 2021년까지 계통접속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한전(대표이사 김종갑)은 재생에너지 접속대기를 완전히 해소하기 위해 전력그리드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재생에너지 특별대책 전담조직을 신설했으며, 선제적 계통보강 체계로 전환하고, 신재생협회 등 유관기관과 소통을 강화해 현장의 애로사항을 적극 발굴해 신속히 해소한다는 방침이다.

계통연계 문제는 지난 10월 한전에 대한 국정감사에도 지적됐다. 당시 김성환 의원(더불어 민주당 서울 노원 병)은 “1MW이하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지연 건수는 총 8만 3840건으로 총 용량이 14.4GW에 달한다. 발전효율을 30%로 가정할 경우 대형 화력발전소 3~4기에 해당하는 용량”이라며 “ 이중 4.2GW가 전력망이 부족해 발전소를 준공 하고서도 발전을 하지 못하는 접속대기 상태” 라고 지적했다. 이에 한전은 재생에너지 접속 신청이 예상되는 지역에 미리 송전망을 건설하고, 망 정보공개 확대, 접속용량 증대를 위한 제도개선 등을 시행해 계통현안을 해결할 방침이다. 김종갑 사장이 직접 매월 진행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한전에 따르면 2016년 10월 1MW 이하 재생에너지 접속 보장정책 시행 후, 단기간에 14.4GW가 특정지역으로 집중돼 4.2GW는 접속대기중이다. 이 중 3.2GW를 2021년까지 해소하고 잔여 1GW는 변전소 건설기간 단축(6년→3년), 배전선로 접속 허용용량 상향(10MW→12MW) 등을 통해 신속히 해소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앞으로는 접속신청이 예상되는 지역에 송배전설비를 미리 건설하고, 공기단축이 가능한 분산형 전력설비(소규모·소용량)를 신재생발전소 인근에 건설해 적기접속을 실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설 설비의 재생에너지 수용률 확대를 위해 선접속· 후제어, 계획기준용량 적용 등 관련 제도 및 기준을 개선할 계획이다.

예를 들어 1MW 신청시 기존에는 1MW 용량 전부를 감안해서 송전망 용량 검토를 했지만, 재생에너지는 현실적으로 100% 출력이 드물어서 설비용량 대비 70%로 적용 0.7MW 용량으로 검토해 효율적으로 송전망을 운영하는 것이다.

전력망에 대한 정보를 공개해 2021년 7월부터는 미래 전력망 투자계획을 반영한 여유정보, 접속가능 시기 등 가능한 모든 정보를 추가 공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