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탄소중립·에너지자립 ‘골든타임’…“저탄소 분산형 미래에너지 ‘해상풍력’ 추진 필요”

부산 해운대구 청사포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4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조감도.
부산 해운대구 청사포 앞바다에 조성 예정인 40MW 규모의 해상풍력단지 조감도.

[전기신문 최근주 기자] 청사포 해상풍력이 부산의 탄소중립과 에너지자립의 열쇠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산 소재 해상풍력 전문업체 지윈드스카이(공동대표 이용우, 최우진)가 추진하고 있는 청사포 해상풍력은 설비용량 40MW 규모로 준공 이후 가동이 시작되면 연간 약 10만MWh의 청정에너지를 생산하게 된다. 이는 해운대구 주민 약 3만5000여 세대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탄소감축 효과도 뛰어나 부산 동백섬의 300배, 서울 여의도의 15배 크기의 부지에 30년생 소나무를 빼곡히 심은 것과 동일하다.

청사포 해상풍력발전사업 추진위원회(위원장 김창재, 이하 추진위)는 “청사포 해상풍력 사업은 분산형 에너지 구축의 핵심에 해당하는 중소규모의 지역 재생에너지 사업으로, 부산시가 에너지자립 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포문을 열어줄 사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2018년에 ‘2030 시민참여형 에너지전환’ 로드맵을 확정하며 원전 중심의 전력공급 도시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전력자립 도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향후 수년이 골든타임이라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에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을 2025년까지 8.5%, 2040년에는 40%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부산시는 이와 함께 지난 6월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정부 2050 탄소중립 공동선언’에 참여해 국내 243개 지방정부와 함께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하지만 2018년 기준 부산은 전체 전력소비량의 70%를 원전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은 2019년 기준 2.49%로 전국 평균인 11.91%를 한참 밑돈다.

추진위는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전력 설비를 확충하지 않으면 세계적인 탈원전 기조와 함께 전력부족도시로 전환될 위험성이 있다”며 “부산은 205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전력자립률 50%를 달성하겠다고 야심차게 발표했으나 실제 신재생에너지 사업 추진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추진위는 지난 2017년 부산발전연구원이 보고서를 통해 부산시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분산형 전원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실제로 우리 정부도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과 2050탄소중립 추진전략을 통해 분산형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제시한 바 있다. 산업부는 지난 3월 ‘지역 주도의 분산에너지 활성화 대책’을 발표하여 2050 탄소중립 목표치 달성을 분산에너지 시스템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분산형 에너지는 수요지 주변 지역에 건설되어 송·배전 운영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송전 손실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강조하고 “전체 전력 수요 급증의 영향도 받지 않으며 대부분 친환경 에너지원을 이용해 발전 분야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도 한몫을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