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 맞춤형 CCUS·원유 대체 원료 등 기술개발
석유화학, 나프타 대체 원료·폐플라스틱 활용 UP
철강, 철스크랩·수소환원제철 개발 위한 지원 강조

이경호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장비협력관(왼쪽 여덟 번째)과 송유종 석유화학협회 부회장(왼쪽 일곱 번째)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진행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경호 산업통상자원부 소재부품장비협력관(왼쪽 여덟 번째)과 송유종 석유화학협회 부회장(왼쪽 일곱 번째)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지난 15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2차 석유화학 탄소제로위원회 진행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정유업, 석유화학업, 철강업 등 우리나라 대표적인 탄소 다배출 3대 업종이 탄소중립 행렬에 본격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업종별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이행방안이 윤곽을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이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려면 연구개발(R&D) 및 각종 세제 지원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뒤따른다.

21일 재계 및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일 정유업을 시작으로 석유화학업, 철강업의 탄소중립위원회 2차 회의가 진행됐으며, 다음주 반도체업, 섬유·제지업, 기계업, 자동차업, 조선업 등에서도 관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려면 무엇보다 정유업, 석유화학업, 철강업의 탄소배출 저감이 필수다.

우리나라는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이 2019년 기준 28.4%에 달해 일본 20.3%, 유럽연합(EU) 16.4%, 미국 11%에 비해 높다. 특히 에너지소비가 많은 철강, 석유화학, 정유, 시멘트 등 4대 업종의 비중은 8.4%로 EU 5%, 미국 3.7%보다 높다.

탄소배출량은 2019년 기준 철강 1억1700만t, 석유화학 7100만t, 시멘트 3900만t, 정유 3200만t 순이다.

탄소중립은 향후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국내 제조업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 그룹 딜로이트는 지난 18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철강, 알루미늄 생산과 같은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상당한 압박을 받을 전망”이라며 철강, 시멘트, 전력, 알루미늄 등에 탄소국경세가 처음 적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초 산업부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해 업종별 탄소중립추진위원회를 설립한 데 이어 각 업종의 특색에 맞춘 탄소중립 시나리오와 R&D 기술수요 조사 등을 준비해 왔다.

또 주기적으로 업계와 함께 협의회를 개최해 탄소중립 논의를 지속하고, 협의회 산하 분과위원회를 통해 구체적 정책 수단을 수립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탄소중립은 아직 기술개발이 필요하고 상용화를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 만큼 정부 지원이 절대적이라는 게 관련 업계의 입장이다.

특히 기존의 노후 설비를 고효율·저탄소 설비로 교체하기 위한 재정지원과 탄소저감 기술개발에 따른 세제 지원을 공통적으로 정부에 요청했다.

정유업은 ▲정유공장과 산업단지 내 열통합을 통한 에너지 절감 ▲저탄소 연료(LNG)로의 전환 ▲제조공정 중 배출되는 탄소 포집 등을 통해 탄소배출 감축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다만 정유공정 맞춤형 CCUS, 원유 대체 원료 개발 등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해 정부의 세제 및 금융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석유화학업은 나프타 등 화석연료를 수소, 바이오, 폐플라스틱 등으로 대체하는 원료 대체 및 플라스틱 재활용 확대를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이를 위해 투자세액공제 확대와 플라스틱 재활용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 지원방안을 호소하고 있다.

철강업은 중단기적으로 철스크랩 활용 확대, 설비개선 등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이, 장기적으로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에 기초한 전기로제강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미래 친환경 자원으로서 철스크랩의 관리 필요성과 철스크랩, 전기로 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제도적 지원을 강조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관심을 요청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