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항만, 원전 등 국가보안시설서 무인경계체계 강화

광섬유센서 기반 침입감지시스템의 구동화면
광섬유센서 기반 침입감지시스템의 구동화면

[전기신문 안상민 기자] 한국광기술원(원장 신용진)과 에니트(대표 기송도)가 광센서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국가 주요 인프라와 보안시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계감시용 광센서시스템을 국산화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보안용 CCTV나 적외선 영상시스템은 사각지대나 낮은 해상도로 인해 감시범위가 좁고 상시 모니터링 요원이 지켜봐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 전자기파센서 및 압전센서 등은 침입체에 대한 정보 분석이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에 의한 오경보율이 높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광기술원 광정밀계측연구센터(센터장 김명진)와 에니트가 공동으로 국산화에 성공한 기술은 수 km 이상 길이의 광섬유를 경계망에 설치해 주변의 진동 때문에 달라지는 이상신호를 1m 정도의 정밀도로 실시간 정보를 수집해 3D 분포도를 만든 후, 딥러닝 방식의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침입여부와 침입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침입체 규명과 침입체의 진행방향, 속력, 규모 등도 판별해 낼 수 있으며, 수십 km 이상 넓은 범위에서 경계감시가 가능하다.

또 광케이블이 센서와 신호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센서 운영을 위한 전력소비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이번에 개발한 경계감시 광센서 시스템은 지중 매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침입자가 경계감시망을 사전에 무력화하기 어렵고 바람이나 낙엽 등 외부환경에 의한 오작동이나 오경보율을 대폭 낮출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다.

본 기술은 원전, 항만, 공항, 군시설 등 국가 보안시설에 대한 무인경계감시를 비롯해 송유관, 열배관, 가스관, 데이터전송케이블 등 민간 중요자산에 대한 외부경계감시 등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명진 한국광기술원 센터장은 “이번 인공지능 기반 경계감시 광센서 시스템 국산화는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고 해외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최근 주목받는 인공지능을 광기술에 접목하는 기술개발에 집중해 신시장 진출을 위한 광융합 제품 생태계 활성화와 기업 제품화 지원에 더욱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