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8일 주파수 추이.
지난 3월 28일 주파수 추이.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 주파수 안정을 위한 패스트(FAST) DR이 지난달 28일 처음 발령된 것으로 나타났다.

패스트 DR이란 전력의 수요와 공급이 불안정해 급작스럽게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소비전력 차단 등으로 이를 해결하는 수요반응(DR) 자원이다. 해외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출력 변동성에 대응하는 속응성 자원으로 활용하며 실시간 시장과 더불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도 수요와 공급이 불안정한 신재생에너지 자원 증가로 에너지 패러다임이 일어나고 있고 기존 용량 중심에서 전력 유연성과 효율성 확대로 변화함에 따라 역할이 증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11월부터 패스트 DR 시범사업 진행 중으로 현재 약 742MW DR자원이 패스트 DR로 등록돼 운용 중이다. 같은 해 3월 신보령 1호기 불시정지로 최저 주파수 59.67Hz가 기록돼 정전 사고 위험을 겪어 전력거래소는 긴급하게 패스트 DR 제도를 만들었다. 주파수가 59.0Hz 이하로 떨어지면 지역단위 대형 정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수립된 패스트 DR이 사업 시작 약 4개월만에 전력계통 안정화에 첫 기여를 했다.

지난달 28일 60Hz에서 60.05Hz를 왔다갔다하던 주파수는 10시 54분 02초, 신서천화력이 시운전중 918MW 발전기 탈락으로 59.85Hz까지 급격하게 떨어졌다. 4초 후인 10시 54분 06초, 패스트 DR이 바로 발령됐고 10시 54분부터 55분까지 1분간 620MW 부하차단이 일어났다. 10시 54분 12초, 주파수는 59.9Hz 위로 올라가 정상화됐고, 10시 55분부터 11시 1분까지 6분간 210MW가 더 작동해 전력계통 안정화에 성공했다.

결국 시행 당시 높은 설치비용과 낮은 정산금 등으로 말 많았던 패스트 DR 시범사업이 중요한 타이밍에 주파수 안정이라는 제 역할을 한 것이다.

패스트 DR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이용훈 호디 대표는 “정부의 선행 실증과제를 통해 습득한 기술 덕분에 이번 패스트 DR 발령에 참여해 전력계통 안정도에 기여했다”며 “주파수 보조서비스 대응을 위한 발전자원 구축비용에 비해 수천억원의 경제적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고 답했다.

패스트 DR이 제 역할을 한 만큼 정부의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 대표는 “향후 추진할 실시간전력시장에서 계통보조서비스에 대한 부분을 고려해 전력의 효율적 사용을 이끌어 갈 정부의 체계적 방안이 필요하다”며 “더 많은 사업자가 참여하도록 요금체계 변경 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