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 ‘충전인프라 구축방안’ 발간
이용자 활동·통행 고려해 완속 중심으로 보급해야
기축엔 전력부하 상승 부담 덜어주는 스마트충전이 요긴

전기차 이용자 충전행태 유형 및 특성 (출처:이재현 외 2020, 98)
전기차 이용자 충전행태 유형 및 특성 (출처:이재현 외 2020, 98)

[전기신문 오철 기자] 전기차 이용 및 충전 특성을 고려할 때 과급형콘센트보다 스마트충전 기술이 더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축건물의 계약 전력용량 증가 비용과 입주자들의 설득하는 측면에서 스마트충전이 유용하다는 판단이다.

지난달 국토연구원은 ‘이용자 중심 친환경차 충전인프라 구축방안’을 펴내고 전기차 충전인프라 보급 방향을 제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형태는 활동과 통행 행태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이용자 대부분이 거주지와 직장의 완속충전기를 주로 사용했으며 장거리 통행 수요가 많은 일부 이용자는 거주지 완속충전기와 공용 급속·완속 충전기 모두를 활용하고 있었다.

전기차 이용자 충전행태 유형 및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기차 이용자들은 1인당 평균 주 3.5회 충전을 했으며 충전장소로는 ‘주거지에서만 충전’이 34%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공용충전기만 사용(21%), 주거지와 공요웅전기 함께 사용(21%)이 그 뒤를 이었다.

이에 따라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향후 공동주택 등 주거지 중심의 완속충전기가 더 설치돼야 한다”며 “머무는 시간이 긴 주거지, 직장, 고속도로 휴게소 순으로 충전기를 우선 확충하고 숙박시설, 마트 및 쇼핑몰에 대한 충전기 보급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장소 특성에 따라 필요한 유형의 충전기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모든 생활거점에 콘센트형을 포함한 완속충전기 중심의 보급정책보다는 장소 특성에 따라 적정한 비율의 완속·급속 충전인프라 보급정책이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환경부는 올해 ‘핸드폰처럼 상시적인 전기차 충전’을 위해 완속충전기와 과금형콘센트를 포함해 총 3만기의 충전기를 확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중 과금형콘센트는 2만4000기가 보급되며 1기당 50만원의 보조금이 지원된다.

보고서는 충전기 보급 확대가 어려운 국내 상황을 보완할 수 있는 스마트충전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기축건물 계약 전력용량 및 신축건물의 배전설비 관련 비용이 주민들 반대에 대표적인 이유”라며 “전체 충전 수요의 총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스마트충전 기술이 좋은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스마트충전은 충전기를 보급할 때마다 같이 늘려야 하는 전력용량을 현명하게 제어한 충전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완속충전기(7kW) 5대를 설치하면 35kW의 전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스마트충전은 선착순으로 전력을 배분하는 충전 제어 프로그램과 예상 전력의 반에 반만 있으면 효율적인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정부는 2023년부터 기축건물에도 2%의 전기차 충전기 설치 의무를 부과하기로 했다. 의무화가 실시되면 충전기 확충 때문 계약용량을 늘려야 한다. 연구원은 “스마트충전은 이 같은 상황에서 매우 유용해 보조금 지원 기준에 포함시킨다면 전력 효율화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시 안정적인 전력관리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