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원인 두고 “SOC 문제”, “PCS 문제”, “방지시스템 필요” 등 시각차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왼쪽)이 지난달 25일 강원 원주시 대선 태양광발전소 현장을 방문해 ESS설비 안전 점검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왼쪽)이 지난달 25일 강원 원주시 대선 태양광발전소 현장을 방문해 ESS설비 안전 점검을 하고 있다. 제공: 연합뉴스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 올 초 벌어진 두 건의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로 ESS 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ESS 화재를 두고 다양한 원인과 대책이 나오고 있다.

ESS 육성을 위해 정부는 지난 2014년부터 FR용 ESS 구축을 시작으로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 5.0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해왔으나 ESS 화재 이후 업계는 고사 상태에 빠졌다.

이후 정부가 내놓은 2건의 ESS 안전대책으로 화재는 점차 줄어들었고 2020년과 2021년 화재발생은 두 차례에 그쳤다. 안전대책도 어느 정도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올 1월 울산과 경북 군위에서 ESS 화재가 연속적으로 발생했다. 따라서 이를 둘러싸고 ESS 전문가들은 화재 원인과 대책을 각각 분석하고 있다.

과거 한전 스마트그리드를 담당하며 주파수 조정용(FR) ESS를 추진했던 황우현 제주에너지공사 사장은 “전력변환장치(PCS)와 배터리는 인증시험을 통과했기 때문에 불량품이 출하됐을 확률은 굉장히 낮고 문제가 있다면 과충방전과 충전 빈도”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그동안 충방전율(SOC)를 낮췄을 때 화재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예를 들어 SOC를 70%로 잡아야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배터리 용량은 그 상태가 100%인 것으로 볼 수 있다”며 “배터리를 파는 입장에서는 가격 측면을 고려해 배터리 용량을 최대한 높게 잡았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결국 배터리 용량 설정에서 최대한의 안전성을 고려해 화재가 절대 일어날 수 없는 상태로 용량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 황 사장의 주장이다.

이주광 티팩토리 전무는 화재 예방을 위한 설비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티팩토리는 ESS 화재예방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이 전무는 “ESS 화재 요인에는 전기적, 열적, 기계적 등 다양한 요인이 있어 이번 화재의 원인 파악은 아직 어려운 상태”라며 “배터리 문제로만 단정 지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차라리 가장 빨리 작동하는 오프가스 검출센서시스템 등을 적용하면 화재 발생 전 배터리룸을 차단하고 PCS 등을 강제로 꺼서 화재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PCS를 문제 삼고 교체를 주장하는 의견도 나온다.

학계 한 전문가는 “초창기 ESS가 확산할 때 정부가 중소기업 반발에 못 이겨 PCS 등을 중소·중견기업에게 맡겼는데 이 때문에 배터리와 제대로 연계되지 않고 관리도 부실했던 경우가 많았다”며 “과거 설치된 ESS의 PCS와 EMS가 배터리와 제대로 연계됐는지 확인하고 안정성을 강화하는 등 장벽을 높일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계속된 ESS 화재에 최근 박기영 산업부 제2차관이 강원 원주시의 대선 태양광발전소를 방문하는 등 현장 실태 점검을 진행했다. 정부는 이달 중 ESS 안전기준 개정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