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욱 한국원자력학회장, 본지 인터뷰서 제언
“차기정부, 노후원전 수명연장 등 적극 고려 필요”

[전기신문 정세영 기자] 차기 정부의 에너지정책 과제로 원자력을 포함한 균형 있는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재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석탄화력과 가스발전 퇴출에 따른 간극을 과연 재생에너지만으로 메꿀 수 있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정동욱 한국원자력학회장(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은 본지와 인터뷰에서 “급증하는 전력수요와 전체 발전량의 65%를 차지하는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고려하면 재생에너지만으로 탄소중립을 달성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이라며 “차기정부는 주요국이 기후위기 대응, 에너지전환 과정에서 원자력을 낙점한 사실을 고려해 균형 있는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수립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미국, 유럽 등 주요국은 차세대 원자로 개발을 포함한 원자력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특히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가 아닌 청정 발전 확대라는 개념을 도입해 원자력을 에너지 시스템에 새롭게 포섭하려는 시도도 나오고 있다.

한편 일각에서는 원자력과 신재생의 공존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정 회장은 “원자력과 재생에너지가 파트너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은 지나친 편견”이라며 “대형원전의 일일부하추종(Daily Load Follow)과 새롭게 시장에 진입할 SMR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효과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차기 정부의 에너지정책 변화는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그는 “원자력 없이 탄소중립을 실현한다는 건 우리 국민에게 너무 많은 부담을 짊어준다”며 “차기정부는 2030 NDC 목표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또 화석연료 발전 퇴출에 따른 전력 공급 간극을 메우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원전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차기 정부는 노후 원전에 대한 수명연장과 함께 이미 부지가 확보된 신한울 3, 4호기 건설을 재개하는 한편, SMR을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