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정책이 만들어지면서 관심을 끄는 것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할 수 있는 소형 모듈형 원전 SMR이다. 대형 원전건설 및 운영에 부담을 느끼는 정부도 SMR에 대해선 주요 전력공급의 한 축으로 인정하고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어서 효율적이며 안정적인 에너지믹스에 있어 공감을 얻을 만 하다.

한수원 등 공공기관 주도의 개발 로드맵을 보면 내년 예타 통과와 함께 설계와 인허가를 총괄하게 될 사업단을 조직하고 2028년 가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재생에너지의 발전비중이 20% 이상 되는 2030년 재생에너지와 함께 전력공급의 한 축이 된다면 전력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큰 기대를 할 수 있다. 국회도 여야 의원이 참여하는 ‘혁신형 SMR 국회포럼’을 만들어 정책을 뒷받침 하는 만큼, 다양한 민관 사업자들이 참여해 기술개발과 함께 상용화를 이끈다면 향후 국내외 에너지시장에서 주도권도 쥘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SMR은 대형원전의 약점으로 부각돼 온 부하추종운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은 물론 수소생산에 활용하거나 원격지 분산전원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유연성 기능을 갖춘 전원으로 급 부상했다. 시공과정도 단순화, 모듈화, 표준화 첨단 제조기술을 적용해 대형원전 대비 경제성을 확보한 전원으로 평가된다.

아울러 환경 파괴 논란이 있는 대용량 송전망을 추가 건설할 필요도 없고, 수요지 인근에도 건설이 가능해 장거리 송전이 불필요하다는 점도 큰 장점 중 하나로 꼽힌다.

OECD NEA 등 국제 에너지 기구의 전망을 보면 오는 2031년부터 2050년까지 매년 3.8~7.9GW 규모의 SMR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장밋빛 전망이 많은 SMR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선 기존 원전에 적용했던 규제 체계의 혁파와 민간이 참여하는 기술, 시장 개발에 대한 목소리가 높은 만큼 시작부터 이런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기존 인허가 체제 하에서는 SMR 기술개발 사업의 불확실성이 클 수밖에 없다. SMR 특유의 혁신개념을 기존 대형원전을 전제로 한 인허가 규정으로 심사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은 뉴스케일 SMR의 인허가를 심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규제 선진화를 추진하는 계기로 삼았다. 또 SMR의 성공 여부는 민간의 참여를 어떻게 끌어내느냐도 관건일 것이다. 시장 발굴, 고객 확보, 투자 유치 등은 공공보다 민간이 더 우수한 경쟁력을 갖고 있는 만큼 혁신형 SMR 사업에 민간이 정식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 미국 뉴스케일 SMR에 두산중공업, 삼성물산 등 국내 대기업이 거액의 금액을 투자한 사례를 볼 때 국내 기업의 관심을 충분히 확인했다고 할 수 있다. 여야 모두가 SMR에 대해 한목소리를 내고, 민관이 참여하는 SMR이 된다면, 10년후 국내외 에너지시장은 국내기업이 주도권을 쥘수도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