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E보급 목표 달성 위해선
태양광 설치 부지 다양화해야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설치해 실증한 100kW 포도재배 겸용 태양광시스템.(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설치해 실증한 100kW 포도재배 겸용 태양광시스템.(사진은 기사의 특정사실과 관련 없음)

[전기신문 최근주 기자] 태양광 업계는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태양광을 설치할 부지를 다양화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본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는 최근 국내 지목별 태양광 보급 잠재량이 현재 기술 수준으로 526GW에 달한다고 분석한 바 있다. 이는 일반적인 대지에 더해 건물, 수면, 논밭 등의 부지를 포함시킨 결과다.

대표적인 태양광 부지 다면화 방법으로 건물 외벽이나 수면 위에 설치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을 적극적으로 개발, 상용화하고 농업과 태양광 발전이 공존할 수 있는 영농형 태양광을 활성화하는 방안이 제기되고 있다.

◆BIPV, 건축자재·모듈 역할 동시에

건물태양광은 도시형 태양광 보급의 핵심 열쇠다.

인구가 집중된 도시는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크지만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부지는 비교적 부족하다. 건물 옥상이나 외벽에 설치되는 태양광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

건물태양광은 외장재의 기능과 태양광 모듈의 기능을 일체화한 BIPV와 건물 외벽에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인 BAPV로 나뉜다. 업계에서는 특히 건축자재로서 안전성, 시공성, 심미성 등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인증받아야 하는 BIPV 기술을 선제적으로 확보해야 한다고 본다.

최근 제로에너지건축물(ZEB), 공공건물의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건물 태양광 설치 지원사업 및 인센티브 등 제도적 뒷받침도 잇따라 마련된 상태다. 오는 2025년부터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가 민간 건물로까지 확대되면서 건물태양광 시장은 앞으로 더욱 성장할 전망이다.

◆수상태양광, 환경영향 최소화·유지보수 전략

수상태양광도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부지 다변화 전략 중 하나다.

수상태양광은 태양광 발전기술과 해양기술을 결합, 부유체와 계류장치 등을 사용해 모듈을 댐이나 저수지 수면 등에 설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각에서 지적되는 환경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며 진통을 겪었으나 업계는 수질과 생태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바람이나 수위 등 외부적인 요인에 강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계적인 검증을 진행했다고 설명한다.

업계 관계자는 “수상태양광을 설치하기 전 환경 평가를 통해 철새 도래지를 훼손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검증받고 사업이 시작된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지난 2011년부터 수상태양광의 환경 안전성을 검증하고 모니터링했으며 그 결과 수질 및 수생태계에 변화가 없음을 확인한 바 있다.

국내외 실증 사례도 꾸준히 확보되고 있다. 올해 5월을 기준으로 국내에서는 총 68개, 128MW의 수상태양광 발전소가 운영 중이다. 싱가포르 태양에너지연구소(SERIS)에 따르면 세계적으로는 약 2.4GW 규모의 수상태양광이 개발 완료 및 설치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농형태양광, 농업과 태양광발전 ‘공존’ 가능

농지의 농업생산성을 유지하면서 태양광에너지도 병행 생산하는 영농형 태양광의 활성화도 필수 과제다. 세계에서 최초로 영농형태양광 개념을 도입한 독일과 2019년 기준으로 영농형 태양광이 2000개소나 운영 중인 일본이 대표적인 영농형태양광 선도 국가다.

반면 국내에서는 농업진흥구역 내 농지에서 태양광을 설치할 수 있는 기간이 최대 8년에 그쳐 영농형태양광 사업이 사실상 불가능한 상태다. 최근 국회에서 일부 여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농지법 개정을 추진 중이다.

한국영농형태양광협회는 “태양광 발전 확대가 필요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고 부지 확보가 절실한 상태다”라고 진단하고 “결국 농지도 일부 태양광발전을 위해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그 부지에서도 농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영농형 태양광은 꼭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