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과 겨울철 전기사용이 많은 시기가 되면 매년 반복해서 발생하는 아파트 정전을 막기위해 산업부가 ‘공동주택에 전기설비 안전등급제’ 등을 도입한 것은 제도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것이어서 정전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사용이 많은 여름철 아파트 정전 증가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며 노후 아파트가 증가하면서 꾸준히 늘었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집계한 전기재해 통계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정전사고는 총 312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기록한 235건 보다 약 30% 가량 늘어난 것이다. 특히 7월에 발생한 정전사고가 210건으로 전체의 67.3%를 차지했다. 올해 8월까지 발생한 정전사고 3건 중 2건 이상이 7월 한 달 동안 집중적으로 일어난 것이다. 특히 정전은 대부분 20년 이상 된 가구당 수전 용량이 2~3kW되는 아파트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어 해당 단지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국내 2만 5132개의 아파트 단지중 변압기의 수전 용량이 세대당 2~3kW 미만인 단지가 5600여개에 달한다. 25년 이상 된 아파트 단지 4158개중 3000단지 이상은 변압기 용량이 세대당 3kW를 넘지 못했다. 각 세대마다 냉방기기는 물론 가전제품이 대형화되고, 인덕션의 보급으로 취사를 할 때도 전기를 사용하면서 전기사용은 꾸준히 늘었지만, 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전설비는 20~30년 전 용량으로 사용하다 보니 정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정부는 아파트 전기안전관리를 위해 ▲변압기 과부화 문제 해결을 위한 변압기 용량산정 기준 마련 ▲정기검사 시 변압기·비상발전기 등 전기설비 운영실태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하지만, 민간 설비인 아파트 수전설비 점검에 대한 강제 규정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 노후변압기 교체 지원사업을 정기검사와 연계해 활성화하겠다는 방안도 내놨지만, 노후변압기 교체는 그동안 참여가 미진했다.

정부가 노후변압기 교체비용을 지원 하더라도 아파트 수선유지비에서 절반가량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아파트 단지에서 변압기가 고장 날 때 까지 사용하다 보험으로 교체하는 것이 합리적이란 판단에서 교체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아파트에서 전기차 충전이 많아지고 주택의 전기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전기사용이 늘고 중요성이 높아지지만, 전기사용인식 및 전기설비에 대한 시각은 아직도 20년 전에 머물러 있다면, 아파트 정전사고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다. 기본적으로 아파트 수전설비는 민간설비 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비용을 지불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이번에 정부가 관리 지침을 만든 것은 아파트에서 정전이 발생할 경우 주민들이 입는 피해를 예방하자는 차원일 것이다. 정부 지원에 앞서 아파트 주거민들이 전기설비에 대한 관심과 투자에 인색하지 말아야 하며, 안전하게 안정적으로 전기를 공급 받을수 있게 투자하는 것이 외관만 번지르하게 꾸미는 것 보다 주민들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