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방안’ 전력정책포럼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방안’ 포럼에 참여한 패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방안’ 포럼에 참여한 패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전기신문 정재원 기자]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분산에너지 활성화가 시급하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가상발전소 활성화를 중심으로 ESS와 집단에너지 등 분산편익을 현실화하고 배전운영자(DSO) 도입 등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도 이어졌다.

8일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방안’ 정책 포럼에서는 전문가들의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

이날 발제를 맡은 안재균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분산에너지는 주민 수용성이 높고 송배전 손실률이 낮아 활성화된다면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다”며 “주민 수용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 단가와 소매 전기요금이 같아지는 소켓패리티(socket parity)가 일어난다면 분산에너지가 자연스레 확산되기 때문에 시스템 대비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를 위해 통합발전소(VPP) 활성화를 위한 전력시장 제도 변화를 주장했다. 안 연구위원은 “아직까지는 VPP의 거래유인요인이 없어 용량요금(CP)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기술 등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제주도 컷테일 문제도 이야기했다. 안 위원은 ‘커뮤니티ESS’ 등 분산에너지 활성화로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복수의 ESS를 묶거나 하나의 큰 ESS를 공동으로 운영하는 등 방법으로 마이크로그리드화를 노리는 비즈니스까지 생각해봐야 한다”며 “ESS가 경제성이 부족하다면 자동차 폐배터리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고 말했다.

발표 이후,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는 가상발전소 활성화를 위한 제도의 세밀한 변화를 주장했다. 김 대표는 “현재 가상발전소와 관련한 재생에너지발전량예측제, 소규모 전력중개시장에 참여하는 자원은 태양광이 전부”며 “결국 풍력, 전기차, 스마트 가전까지 연결되는 것이 가상발전소이기 때문에 인센티브 제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또 “가상발전소 대비를 위한 발전량예측제도의 정산금도 현재 사업성이 낮아 미래 기여가치까지 고려한 방식으로 개편이 이뤄져야한다”고 말했다.

김재언 충북대 교수는 “지금과 같이 보급에만 중점을 둔다면 망 투자 비용이 2배 이상 들어갈 뿐더러 선로경과지 확보에도 한계가 있다”며 “분산에너지 자체를 수용하려면 발전사업자 위주가 아닌 자가 소비 위주 보급정책을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금처럼 한 곳에 몰아넣은 대규모발전 위주로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다.

김태균 한전 전력연구원장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VPP 운영플랫폼을 소개했다. 그는 “현재 연구원에서는 분산자원 등록, 평가, 정산 등 전 과정을 자동화시킨 플랫폼을 전남 나주 에너시티에서 실증 중이다”라며 “앞으로 VPP와 DR 등이 융합한 비즈니스가 일어나기 때문에 더 고도화시켜 오픈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VPP 활성화가 배전망에 끼칠 영향의 우려로 인해 DSO 등에 관한 연구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또 전체적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에 재생에너지 종합운영센터를 구축, 운영 중이라며 “전력망 유연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제주 CFI 실증 R&D’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문병철 산업부 분산에너지과장은 분산에너지에서 집단에너지의 활성화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현재 특별법에 신도시 건설 시 분산전원 의무화가 들어가 있는데, 특별법이 통과된다면 집단에너지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서갑원 대한전기협회 상근부회장, 이학영 국회산자중기위원장을 비롯해 좌장에 박종배 건국대학교 교수가 참여했고 토론에는 문병철 산업부 신산업분산에너지과장, 김태균 한전 전력연구원장, 김영환 전력거래소 제주본부장, 김재언 충북대학교 교수, 김종규 식스티헤르츠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