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위원회 5일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 공개

[전기신문 정형석 기자]2020년 기준 우리나라 전기생산의 62%를 담당하고 있는 석탄과 가스발전이 2050년까지 완전 퇴출될 수 있다는 시나리오가 공개돼 업계의 파장이 일고 있다.

2050 탄소중립위원회(위원장 김부겸 국무총리·윤순진 서울대 교수)가 지난 5일 공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초안’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1안(석탄발전 최소유지)과 2안(석탄발전 중단) 외에 3안(화석연료발전 중단)이 추가로 담겼다.

1안의 경우 2050년까지 수명을 다하지 않은 신규 석탄발전소 7기를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했으며, 2안은 석탄발전 전체를 중단하되 LNG발전은 긴급한 수요에 대응하는 유연성 전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가정했다.

3안은 재생에너지의 공급비중을 늘리고 석탄발전과 LNG발전 전량을 중단하는 방안을 가정했다. 다만 석탄, LNG 감축은 수소, 암모니아 전소 전환 또는 근거법률 및 보상방안 마련을 전제로 한다는 게 위원회 측의 설명이다.

부족한 전원은 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전력을 공급하되 수소, 잔여 원전 등 무탄소 전원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비중은 1안의 경우 56.6%, 2안은 58.8%, 3안은 70.8%로 대폭 늘어난다.

연료전지를 놓고는 전문가들 간에도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가스를 주요 연료로 사용하는 데다 경직성 전원이어서 전력계통 운영에 큰 부담이 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하지만 다른 일각에서는 탄소중립 상황에서는 연료전지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해서 무탄소전원으로 분류하는 게 맞고, 경직성 전원이어서 계통에 부담이 된다고 하면 태양광, 풍력도 제외시켜야 하는 것 아니냐며 맞서고 있다.

또 수송 부문에서는 정부가 제시한 초안에서 전기·수소차 비중을 76%로 했던 것과 달리 시나리오 초안에서는 97%까지 확대·보급하는 3안을 추가로 제시했다.

건물 부문에서도 정부안과 달리 재생에너지(수열)와 지역난방 등을 활용해 도시가스 등을 감축하는 3안을 추가로 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시나리오와 관련해 노동석 서울대 원자력정책센터 연구위원은 “전력시스템 비용과 탄소배출량 측면에서 원자력 확대가 재생에너지 확대에 비해 합리적”이라며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려면 현재 기술로는 가스발전의 백업이 필요한 만큼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실현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밝혔다.

한편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이날 공개한 세가지 시나리오 초안에 대해 9월까지 폭넓은 의견수렴을 진행해 10월말쯤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