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신문 윤재현 기자] 한·미 원전동맹으로 원전 기자재 업체들은 한껏 고무된 분위기이지만 제염, 수리, 보수 등을 원전 운영을 맡는 한수원 협력업체들은 무덤덤한 반응이다. 애국심 차원에서 미국이 우리의 원전 건설을 인정해줬다는 자부심은 생겼지만 어떤 경제적 이득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이들은 고난도의 기술은 없지만, 제염, 폐기물처리, 운반 등 원전 운영과 관련된 일을 한다.

원전이 위치한 부산 기장군, 울산 울주군, 경북 울진군, 전남 영광군 등에 근거를 두며 원전 주변 지역 경제에 많은 기여를 한다.

이들 중 Q등급 이상인 업체는 한수원과 함께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다고 하지만 실제로 UAE에 가봤다는 업체는 찾아보기 힘들다.

업체 대표는 “한국에서 원전 건설을 하지 않는 이상 수출은 우리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며 “수출보다 신한울 3·4호기 건설 허가를 승인해줬으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정부에서는 원전해체시장이 2050년 204조원 이를 것이라며 전망하며 원전건설을 대체할 새로운 먹거리로 해체산업을 추진 중이다. 한수원에서도 지연해체 대신 즉시해체를 선택한 이유로 건설인력을 활용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의 원전전문가는 폐차 산업으로 자동차 산업을 대체할 수 있다는 발상 자체가 한편의 코미디라며 해체는 절대로 건설을 대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사용후핵연료 처리문제가 언제 해결될지 알 수 없고 고리 2·3·4호기 가동 중인 상태에서 고리1호기만 해체한다는 것이 비경제적이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이번 원전동맹으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변경된 것이 아니냐는 말도 들리지만 그건 아닌 듯 하다. 전문가들도 이번 성명은 한국보다는 미국의 의지가 강하게 작용했다고 추측한다.

정부는 애초에 국내 원전 건설은 안 되고 기술 보존 차원에서 수출은 권장했다.

최근 산업부 보도자료를 봐도 혁신형 SMR 개발을 위한 연구는 지속하지만, 국내 원전 건설은 없다는 입장이다.

지역의 원전전문가는 한국의 안전이 걱정된다면 대체로 편서풍이 자주 부는 바람의 흐름을 보면 동해안에 있는 한국 원전보다 서해안에 있는 중국의 원전이 안전하게 작동 중인지 살펴봐야 하지만 정부가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말했다.

다행스럽게도 지구온난화와 수소생산에 원전이 효율적이라며 원전을 친환경적 에너지로 보는 시각이 계속 등장하고 있다.

무엇보다 희망적인 것은 기자가 만난 민주당 정치인들도 탈원전이라는 중앙정부 정책에 드러내고 반발하지는 못하지만, 사석에서는 원전의 필요성에 공감한다는 것이다.

원자력처럼 진보와 보수라는 정치 성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리는 에너지가 또 있을까 싶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