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시장 창출 기대 속 체감효과는 의견 분분
조달청, “중장기 효과 커…사업 지켜봐달라”

무정전전원장치(UPS) 제품 이미지
무정전전원장치(UPS) 제품 이미지

[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조달청이 중소기업의 공공시장 진입을 지원하기 위해 무정전전원장치(UPS) 임대 사업을 시작했지만 업계는 시큰둥한 반응이다. 임대 사업을 통한 기대 이익이 크지 않은 데다 이미 형성된 제조기업-임대사업자 간의 공급망이 붕괴돼 시장 혼란마저 예상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달 초 조달청은 UPS 임대 사업자를 중소기업 직접생산자로 제한하는 ‘UPS 임대 상품’을 개발, 나라장터 쇼핑몰을 통해 상품 공급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현재 사업 신청·접수가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 참여 의사를 밝힌 기업은 없는 상태다.

UPS는 정전 등 돌발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비다. 조달청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수요 규모는 2018년 384억원, 2019년 401억원, 2020년 446억원으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조달청은 사업 참여자를 제조중소기업으로 한정, 대기업의 시장 진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중소기업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임대사업을 기획했다. 특히 이번 사업은 임대시장 진출을 통해 활로를 개척하려는 업계 일각과 UPS 사용의 안전성·편의성을 높이려 한 수요기관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진 결과라는 의견이 많다.

업계에 따르면 일부 제조기업들은 수십 여곳의 중소·영세 임대사업자들을 중심으로 꾸려진 기존 임대시장을 개편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기존에는 중소·영세 임대사업자들이 제조기업에서 제품을 받아 사업을 펼쳐왔으나 국내 UPS 시장이 지속적으로 위축돼감에 따라 임대시장이 제조기업들의 신규 먹거리로 점찍힌 것이다. 현재 국내 UPS 시장 규모는 2018년 3000억원대로 성장해 고점을 찍은 이래 현재 2000억원대까지 축소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 수요기관 입장에서도 UPS 구매·설치보다 임대 사용의 안전성·편의성이 높다는 점이 주효했다는 전언이다. 일괄구매할 때보다 다소 금액부담이 늘었지만 ▲연 4회 정기적인 유지관리 서비스 ▲하자 발생시 해당업체 4시간 이내 현장도착 등 공급자의 책임 규정이 강화된 데 따른 체감효과가 더 크다는 얘기다.

여러 기대를 품고 첫발을 뗐지만 사업 초기 반응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신시장이 열렸다는 일부 긍정적인 평가도 있으나 사업 대상 기업 상당수가 ‘큰 기대는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UPS 제조기업 대표는 “임대사업 규모가 크지 않을 뿐더러 제품 판매보다 마진이 적어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며 “기존 영세·중소 임대사업자들은 중고·저가제품 등을 사용해왔는데 직접생산기업이 자사 제품으로 사업에 참여해 수익을 내는 게 가능할지 의문이다”고 꼬집었다.

제조기업-임대사업자간에 구축된 공급망이 깨지면서 향후 혼란이 일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다. 다른 제조기업 대표는 “이미 형성된 시장인 만큼 제조기업과 임대사업자가 상생해야 한다는 의견도 상당수였는데 결국 임대사업자는 시장에서 배제됐다”며 “선거 등 국가단위 행사에서는 전국적으로 임대상품 수요가 급증할 텐데 10여 곳뿐인 제조기업들이 어떻게 넘치는 수요를 감당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조달청 관계자는 “선거 등 행사에 따른 수요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며, 중장기적으로 임대사업을 통한 기대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중소제조기업의 신시장 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 만큼 기대를 갖고 지켜봐달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