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한국 및 주요선진국 FDI 분석 결과’ 발표

[전기신문 김광국 기자] 지난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 대비 외국인직접투자(FDI) 비율을 나타내는 FDI비율은 0.32%로 OECD 37개국 중 25위로 나타났다. 외국인직접투자(FDI)에서 해외직접투자(ODI)를 차감한 ‘순FDI’의 GDP 대비 비율 역시 –0.74%로 28위의 하위권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은 “FDI 증가는 성장률을 높이므로, 국내 투자환경 개선을 통해 투자유입을 촉진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OECD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FDI비율은 2005년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OECD 37개국 중 25위∼36위 사이를 맴돌며 하위권이었으나, ODI비율은 2005년 27위에서 2020년 상반기 12위로 하위권에서 중상위권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FDI비율에서 ODI비율을 뺀 순FDI비율은 모두 마이너스 값을 기록하며 OECD 22∼33위로 하위권에 머물렀다. 이는 우리나라로 들어온 외국인직접투자는 정체됐던 반면, 해외로 빠져나간 투자는 증가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2005년∼2020년 상반기를 2005년~2010년, 2011년~2015년, 2016년~2020년 상반기, 3개 기간으로 나눠 보면 각 기간 FDI비율은 ‘0.6%→0.5%→0.6%’로 제자리 수준이었으며 OECD와 G5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반면 ODI비율은 ‘1.6%→1.8%→2.2%’로 증가하며 OECD와 G5 평균을 추월했다. 두 비율의 차이(FDI비율-ODI비율)인 순FDI비율은 ‘–1.0%→-1.4%→-1.6%’로 악화추세를 보였다.

한경연은 국내 글로벌기업들의 해외진출 확대에 따른 ODI비율 상승은 자연스러운 측면이 있지만 FDI비율이 오랫동안 OECD 하위권에서 정체돼 있다는 것은 그만큼 우리나라의 투자매력도가 떨어진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한 OECD와 G5 주요국들의 순FDI비율은 개선된 반면, 우리나라는 반대로 악화되는 등 투자역조현상이 심화됐다고 지적했다.

한경연은 FDI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FDI가 증가하면 성장률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외국인직접투자 촉진을 통해 침체된 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세계 10위권인 우리나라의 경제규모와 ODI비율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FDI비율이 낮다”고 지적하며 “규제개혁과 기업 세부담 완화 등으로 외국기업을 적극 유치해 FDI비율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시기별 OECD 및 주요선진국과의 FDI 및 ODI비율 비교’
한국경제연구원이 분석한 ‘시기별 OECD 및 주요선진국과의 FDI 및 ODI비율 비교’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