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시티(Smart City)는 고도화된 정보통신의 융복합 건축기술로 다양한 도시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스마트시티의 건물에너지 정책 의무화는 고도로 발전된 정보화 시스템과 건축설비환경, 자동제어시스템 운영기술이 함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그러나 과도한 에너지절감을 위한다고 공조기 외기댐퍼부위를 비닐로 막아 사무 생산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우리나라 건물 에너지소비는 1990년 이후 매년 2.5% 이상 증가하고 있고, 특히 상업건물의 증가율은 5% 수준으로 건물부문 에너지 소비증가를 주도하고 있다. 이런상황에 대비한 독일의 벤츠본사, 꼬메리츠뱅크, 하노버 메세본부 건물은 자연환기, 이중외피, 재실공실제어를 통해 최적절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고 있는데 건축과 제어시스템을 적절하게 융합한 시공한 좋은 사례이다.

따라서 정부의 에너지 관리를 위한 정부정책중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과 “건축물 에너지 효율등급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과 인증기준” 또한 공공기관 연면적 1만m2 이상의 건축물을 신축하는 경우 건물 에너지관리시스템(BEMS)을 구축하고 한국에너지공단을 통해 설치 확인을 받도록 의무화 했고 2025년부터 신축하는 건축물은 제로에너지 건물시공을 의무화 한다고 한다.

냉난방 에너지 49.8%를 차지하는 건물은 현재 빌딩자동제어 시스템(BAS), 에너지 관리시스템(BEMS)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에너지 저장장치(ESS), 신재생에너지원을 이용한 제로에너지(ZEB. Zero Energy Building), 녹색건축물등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의 적용되는 감시제어 시스템은 급성장하였으나 사용량 분석에만 그치고 있다. 또한 건축, 기계, 전기전자,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기술 등 광범위한 시스템의 시공과 인증만 받고 유지관리 측면은 외면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하자기간 이후 저가 입찰을 통한 용역관리업체에 의존하여 고가의 장치들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방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이다. 또한 건축, 설비, 전기설계시 에너지관리 시스템인 BEMS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많아 정부와 산업계, 건물주가 따로 가고 있는 실정도 현실적인 문제이다.

그 이유는 BEMS를 확대하고자 하는 정부와 달리 관리자가 부재한데 전문 교육기관이 없는 상태에서 그 목적을 이루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비전문가의 수동조작, 단순제어동작과 정기인사로 이동하는 시설관리 담당자들, 관리직원이 정규직으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더더욱 최적운전관리가 어렵다. 그런데도 에너지 절감 효과를 알 수 없는 상태에서 정부는 BEMS를 민간 부문에 의무화를 추진 중인데 제로에너지 건축물 보급확산 추진하는 국토교통부는 BEMS의 현재상황을 인지하고 민간건물에 적용하고자 하는지 알 수 없다. 더구나 규모에 따라 평균 2억~3억원의 설치비용이 투입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공기관별로 BEMS 의무화에 쓴 돈은 수십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는데 갈수록 늘어나는 에너지사용 절감을 위해 민간부문까지 넓히는 있어 에너지효율 혁신 추진방안대로 이루어질지 미지수이다.

최적운영을 위한 시스템 통합시 HVAC(기계설비), 전력, 조명, 출입통제, 태양광, 지열, 에너지저장(ESS), 원격검침, CCTV, 전관방송, 스마트그리드, BEMS 등 각각의 장치의 통합프로토콜이 선결되어야 한다. HVAC는 ISO, KS 표준 규격인 BACnet (KS X 6909)을 적용중에 있으나 국내 규격인증기관 없어서 기능별 용도별 국가표준 제정으로 규격화된 통신방식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공인된 인증기관 필요하다. 따라서 인증기관은 점차 확대발전하는 장치들의 통신규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중대형건물의 경우에는 시스템 통합을 위해 특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설치하는데 시스템 운영 기술자의 이직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불가한 것도 현실적인 문제점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공당시에 관여한 감리, 감독자를 해당건물에 재취업하도록 하여 에너지 마스터의 역할을 충분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건물 에너지효율 혁신을 위한 건물(BEMS), 편의점(REMS), 가정(HEMS), 공장 (FEMS) 등 용도에 따른 에너지관리시스템으로 보급확산 시켜 통합관제센터(TOC)를 통해 통합군관리, 혁신 차원에서 ‘스마트 에너지 시티’를 조성해야겠다 .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