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한국 서비스산업의 국제적 위상과 경제기여 효과’발표

지난해 우리 서비스 수출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상품(제조업) 수출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원장 최용민)이 23일 발표한 ‘한국 서비스산업의 국제적 위상과 경제기여 효과’에 따르면 2019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2.0% 중 서비스 수출의 기여도는 0.5%p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한 반면 재화 수출의 기여도는 0.2%p였다. 경제 성장 기여도에서 서비스 수출이 재화 수출을 앞지른 것은 2015년 이후 처음이다.

특히 서비스 수출은 양질의 일자리와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 상품 수출보다 더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수출이 국내 경제에 직ㆍ간접적으로 유발한 취업인원은 2018년 170만7000명으로 총 수출에 의한 취업유발인원 중 32.1%를 차지했는데 이는 2015년 29.4%에서 2.7%p 늘어난 수치다. 같은 기간 상품 수출의 취업유발인원 비중은 70.2%에서 67.4%로 감소했다. 서비스 수출의 취업유발인원 중 상용직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45.7%에서 2018년 48.6%로 증가해 고용의 질적 개선도 성과를 보였다.

또한 서비스 수출 1원 당 부가가치 유발액이 2010년 0.707원에서 2018년 0.812원으로 0.105원 증가할 때 같은 기간 상품 수출의 부가가치 유발액은 0.560원에서 0.613원으로 0.053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그러나 보고서는 “2019년 한국의 서비스 수출액은 1015억 달러로 5422억 달러를 기록한 상품 수출의 5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우리 서비스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여전히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라며 “수출액 순위에서도 상품은 세계 7위, 서비스는 세계 16위 규모로 9계단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세계 10대 상품 수출국 중 가장 큰 차이로 더 많은 부가가치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수출을 늘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심혜정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경제의 확대, 한류와 K-방역으로 높아진 국가브랜드 등은 우리 서비스업의 해외 진출에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정보제공 강화, 비관세장벽 개선, 융합 서비스모델 발굴, 디지털 마케팅 지원 등 서비스기업의 해외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