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측 제고 정산금 8% 이하 3원, 6% 이하 4원
기타 재생E와 집합구성 가능… 정산금은 제외

재생에너지 예측 제도 참여 가능 자원(예시)
재생에너지 예측 제도 참여 가능 자원(예시)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오차를 줄이기 위해 ESS·바이오 등 기타 재생에너지를 묶어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태양광 발전량이 예측보다 부족하면 소수력발전 출력을 높여 오차율 조정을 가능하게 한 것. 변동성 발전원과 유연성 발전원을 결합한 사례를 두고 가상발전소 구축을 위한 의미 있는 한 걸음을 내디뎠다는 평가가 나온다.

◆예측 정산금 3·4원...유연성 재생E 결합 가능

7일 전력거래소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제도’에 대한 간담회를 가졌다. 거래소는 사업자 의견 수렴, 전문가 자문 기간을 거쳐 전력시장운영규칙을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발전량 예측 제도는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에 따른 전력계통안정 편익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인센티브 정책이다. 출력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큰 재생에너지가 급증함에 따른 계통안정성 확보와 전체의 80%를 차지하는 1MW 이하 태양광 발전을 전력시장으로 유도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개정안은 태양광과 풍력을 발전원으로 하는 발전 설비에만 예측 제고 정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단 바이오, 소수력, ESS 등 기타 재생에너지와의 집합 구성도 가능하게 했다. 전날 입찰한 태양광, 풍력 발전 예측량의 당일 오차율이 크다고 판단되면 함께 묶었던 기타 재생에너지 발전원 출력을 조절해 오차율을 줄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대상 발전기 용량도 20MW 이상으로 커졌다. 개별발전기는 20MW 초과, 집합자원은 1MW 이하 자원을 모아 20MW 초과로 맞추면 된다. 예를 들면 ▲20MW 초과 태양광 및 풍력 발전기 ▲20MW 초과 태양광+20MW 초과 바이오 ▲1MW 이하 풍력+1MW 이하 ESS+1MW 이하 소수력+...총 20MW 초과 재생E 자원 등 형식으로 자원을 구성하면 참여가 가능하다.

예측 인센티브는 kWh당 3원에서 세분화됐다. 오차율이 8% 이하면 기존과 같게 3원을 받고 오차율을 6% 이하로 줄이면 4원을 받게 됐다. 이용률은 10%를 넘어야 하고 이 같은 기준을 만족하는 태양광과 풍력 실제 발전량을 토대로 정산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다만 참여 자원의 3개월간 평균 오차율이 10%를 넘으면 참여 대상에서 제외된다. 다시 들어오고 싶으면 재참여를 위해 1개월간 재등록시험 기간을 가져야 한다.

◆‘낙동강 오리알’과 ‘VPP 밑그림’...복합적 평가

이번 개정안을 두고 세심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간 자원(1MW 초과부터 20MW 이하)은 어떤 방식으로도 참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집합 자원에 ESS를 활용해 오차율을 줄일 수 있다고 하지만 ESS를 낮에 방전하면 REC를 포기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활용에 불가능하다는 불만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예측제도에서 중간 용량 자원은 낙동강 오리알이고 ESS는 빛좋은 개살구”라며 “초기 문제였던 계량기 비용 및 통신비 저감에 대한 대책부터 마련해 달라”고 촉구했다.

상향된 예측 정산금과 결합 방식 등은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6% 이하 조건이 붙긴 했지만 1원이 올랐고 오차율 감소를 위해 기타 재생에너지와 결합하는 방식은 가상발전소(VPP) 밑그림 같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평가다.

이에 대해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소규모전력중개사업자의 모집 용량을 늘리는 등의 중간 용량 참여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ESS 낮방전에 대한 REC 보존 등의 방안은 이번 규칙 개정 이후에도 계속 협의할 계획이다. 하나씩 하나씩 개선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향후 예측 제도가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면 예측 입찰 의무화를 시행할 수도 있다”며 “의무화로 가면 혜택은 더 커질 것이다. 지금은 그 전 단계”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오는 31일 실무위원회, 9월 규칙개정위원회와 전기위원회를 통해 규칙 개정을 진행하고 시스템 개발 및 교체 기간을 거쳐 내년 2/4분기쯤 제도를 시행한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