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60%대 관세 폭탄 지속…기업들 항소 검토

국산 초고압변압기에 대한 미국 정부의 반덤핑 관세 조치가 지속되고 있다. 자국 기업 보호와 우리 기업의 미국 시장 점유율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리기 위한 일종의 보복성 조치가 무려 8년째 반복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 일진전기, LS일렉트릭 등 주요 초고압변압기 제조기업들은 최근 미국 상무부(DOC)로부터 반덤핑 판정을 받았다. 이번 조치는 지난 2012년 7월 원심 이후 제6차 연례재심에 따른 판정이다.

미 상무부는 2017년 8월부터 2018년 7월까지 국내 기업이 미국으로 수출한 고압변압기(60MVA 이상)에 대해 반덤핑 판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4개 기업에 부과된 반덤핑 관세율은 현대일렉트릭 60.81%, 효성중공업 37.42%, 일진전기 37.42%, LS일렉트릭 15.74% 등이다. 이는 지난 5차 판정(2019년 4월)에 비해 현대일렉트릭과 LS일렉트릭은 변동이 없는 반면, 효성중공업과 일진전기는 15.74%에서 37.42%로 2배가량 높아진 수치다.

다만 LS일렉트릭은 북미 변압기 수출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번 조치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전망이다.

현대와 효성, 일진 등 3사가 반덤핑 판정에 따라 물어야 하는 벌금도 모두 합하면 700억원을 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3사가 주도하는 대미 변압기 수출은 2010년대 들어 반덤핑 이슈가 불거지면서 현지 시장에서 직격탄을 맞았다. 초고압을 포함해 2010년 4억 달러 규모에 달하던 변압기 수출은 2019년 1억6520만달러에 그쳐 9년 만에 3분의 1수준으로 곤두박질쳤다. 2015년과 2016년을 제외하곤 매년 수출이 감소되는 추세다.

2012년부터 미국 정부가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고 관세율도 2018년부터 최고 60.81%로 치솟으며 변압기 수출이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번 6차 판정과 관련, 3사는 상급법원인 국제무역법원(CIT)에 항소를 검토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에도 상급법원에 항소해 반덤핑 관세율이 낮아진 사례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강력한 현지화 전략을 통해 반덤핑 이슈를 정면 돌파하겠다는 각오다.

현대일렉트릭은 지난해 말 미국 앨라배마주에 위치한 변압기 생산법인인 ‘현대 파워 트랜스포머 USA(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의 증설을 마친 상태다.

증설을 통해 앨라배마 공장은 3만8678㎡(약1만1700평) 규모로 늘어나 연간 생산능력이 50% 증가했다.

현대일렉트릭은 2020년 앨라배마 법인의 연 매출액 2억달러를 목표로 설정했다.

효성중공업도 지난해 말 미국 테네시주에 위치한 미쓰비시의 초고압변압기 공장(MEPPI)을 4650만달러(약 500억원)에 인수했다. 테네시 공장에서는 올 상반기부터 초고압변압기를 생산할 수 있을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 및 컨설팅기관인 '프로스트 앤 설리번(Frost & Sullivan)'에 따르면, 북미 지역 전력변압기 시장은 연평균 4% 규모로 꾸준히 성장해 2022년에는 약 29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