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요금제, 용량이 아닌 속도로 개편해야”
“5G와 유선통신, 특성 같은 만큼 요금제 닮아야해”
“UHD, VR 등 빠른 속도 필요한 사람들이 비싼 요금제 써야”

김학용 순천향대 교수는 '유선통신 수준으로 5G 통신요금의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김학용 순천향대 교수는 "유선통신 수준으로 5G 통신요금의 개편이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IoT 전략연구소의 대표이자 순천향대학교 IoT보안연구센터에서 일하고 있는 김학용 교수는 여러 업계로부터 연사로서 러브콜을 받는 자타공인 IoT(사물인터넷) 전문가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냉장고를 공짜로 드립니다’를 비롯해 ‘IoT 지식능력 검정’, ‘사물인터넷’, ‘NodeMCU로 시작하는 사물인터넷 DIY’ 같은 관련 분야 책들도 다수 출판하는 등 IoT에 대해 해박한 지식과 넓은 시야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 그가 IoT와 밀접한 관계의 ‘5G’에 대해 열었다. 지난 4월 3일, 이동통신 상용화 1주년을 맞이한 만큼 ‘세계 최초 상용화국’이라는 달콤한 수식어 이면의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원래 통신사나 정부에서 지난해 말 가입자를 500만명으로 목표했는데 올해 2월 말에나 달성했다”며 “비싼 이용료, 비싼 단말기, 부족한 콘텐츠, 끊김 현상 등이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동통신사들의 5G 홍보 과정에서 과대광고를 했다고 꼬집었다. 이동통신사들이 5G의 서비스 콘텐츠로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홀로그램, 자율주행차 등을 홍보하지만 정작 이같은 서비스들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이상 걸린다는 것이다.

특히 김 교수는 5G의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요금제 가격 인하가 필수라고 주장한다.

김 교수는 “5G가 시작되기 전까지 통신사의 평균 ARUP(가입자당 매출)는 3만2500원이었지만 5G 서비스로 7만5000원까지 올라갔다”며 “소비자가 선뜻 쓰기 힘든 금액으로 고가의 LTE 요금제를 쓰거나 신형 스마트폰을 쓰고 싶은 사람만 쓰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서비스 가격을 낮추기 위해 그는 5G에 대한 이해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초저지연, 초연결, 초고속으로 정리되는 5G의 특징은 사실 ‘유선통신의 특성’과 같다. 즉 5G는 무선으로 유선통신 서비스를 쓰는 것으로 알려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같은 특징의 유선 서비스 쓸 때 집에서 2만원 내외로 인터넷을 쓰는데 그럼 5G도 2만원 정도인 게 맞지 않나”며 “5G 특성의 본질이 유선과 같은 만큼 유선통신과 비슷한 요금을 받아야지 무선이라고 가격이 오르는 건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통신사들은 시설 투자 비용이 LTE 구축 당시보다 20~30% 정도 높다고 하지만 그럼 요금 또한 같은 수준에서 인상돼야 하는 게 당연하다”고 덧붙였다.

5G 요금제가 현재의 ‘용량제’에서 ‘속도제’로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 또한 같은 맥락이다.

과거 2G부터 점점 데이터 속도가 향상돼왔으며, 사실상 4G가 대부분 서비스 이용이 필요한 속도를 갖춘 만큼 통신 속도가 빠르다고 해서 5G 요금제가 높아지는 것은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무선통신의 경우 정해진 용량에 비례해서 요금제가 높아지는 반면 유선통신의 경우 속도 제한에 따라 요금이 결정된다”며 “5G 요금제 또한 100Mbps의 속도 필요한 사람은 저렴한 요금제를 쓰면 되고, 고용량의 UHD TV를 보고 싶은 사람은 속도가 빠른 비싼 요금제를 쓰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속도에 따른 요금제 방식이 5G망을 이용해야 하는 넷플릭스 서비스 사업자들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는 만큼 이동통신사의 새로운 수익구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조언한다.

고객들이 자신의 서비스를 빠르게 이용하길 바라는 사업자들이 더 비싼 요금을 내고 원하는 속도를 이용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이다. 제로레이팅, 망중립성과 배치되는 얘기로 고민이 필요하지만 서비스 사용자들의 혜택이 늘어나는 만큼 허용되는 방향으로 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김 교수의 생각이다.

아울러 28GHz 주파수 보급도 이동통신사들이 넘어야 할 산이다. 3.5GHz와 28GHz로 나눠진 5G 주파수 가운데 3.5GHz 망 구축이 거의 완료돼가지만 28GHz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다.

그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파 간섭을 심하게 받는 만큼 28GHz를 곳곳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인빌딩 중계기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한 비용과 시간이 어마어마한 만큼 현실적으로는 3.5GHz를 베이스로 하고 사람이 많거나 수요가 많은 곳에서 28GHz를 이용하는 형태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