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산업계 불황 지속...원전해체·수출로 산업생태계 회복 노력

올해 원자력산업계는 기해년을 대표하는 사자성어인 ‘전전반측(輾轉反側)’으로 요약된다.

'걱정이 많아 잠을 이루지 못했다'는 뜻으로, 2017년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이후 경영난, 일자리 감축, 인력 국외 유출 등 원전산업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는 현 상황에서 원전 종사자들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정부는 에너지전환 정책에 따라 탈원전 드라이브를 지속하면서 원자력 발전보다는 해체를 공략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 국내에는 신고리 5·6호기를 끝으로 신규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국외로 눈을 돌려 수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원자력 연구개발을 시작한 이후 60년 역사 동안 원전 선행주기인 발전에 치중한 사업을 펼치다 현 정부 들어 후행주기 등 전(全)주기 활성화를 목표로 원전해체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내세웠다.

이에 따라 올해 4월 정부는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원전해체 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하고 글로벌 원전해체 시장 성장에 따라 원전해체를 원전산업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2017년 국내 처음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를 시작으로 2023년부터 순차적으로 설계수명 만료되는 노후원전을 해체해 국내외 해체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전략이다.

현재 초기시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 조기발주, 부산·울산·경북 경주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자체 핵심기술 확보 등을 진행 중이다.

이와 더불어 사용후핵연료 등 방사성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한 논쟁이 올해도 계속됐다. 월성원전의 사용후핵연료 임시저장시설 포화가 2021년으로 다가오면서 임시저장시설 증설 여부를 비롯해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에 대한 논의가 시급해졌다. 이에 따라 올해 5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가 출범해 전문가 논의, 전국·지역 공론화를 하고 있다.

또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출 이후 뚜렷한 수출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대통령이 직접 원전 세일즈를 펼치는 등 수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사우디 소형원전(SMART) 수출 건은 우선협상자 선정이 지연되고 있고, 이달 19일 불가리아 벨레네원전 건설재개에 우리나라가 러시아, 중국과 함께 우선협상자로 선정된 바 있다.

특히 올해는 원자력 역사 60주년을 맞은 해이고 미국을 제외한 국가 중 처음으로 한국형 원전 APR1400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설계인증(DC)을 취득하는 쾌거를 달성하기도 했지만, 축하하는 분위기보다는 원자력계의 미래에 대해 우려하는 분위기가 만연한 한 해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