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전력시장 워크숍’ 개최,,2024년 실시간 시장 보조서비스 시장 도입 논의

12일 열린 전력시장 워크숍에서 시장제도 개선 방향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됐다. 워크숍에 앞서 발표자, 패널, 귀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2일 열린 전력시장 워크숍에서 시장제도 개선 방향 등 다양한 주제가 발표됐다. 워크숍에 앞서 발표자, 패널, 귀빈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의 공급확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력공급의 불확실성 극복을 위해 20년 동안 굳건히 유지해온 CBP시장의 변화가 예상된다.

정부는 2001년 발전시장에 경쟁을 도입하며 CBP시장을 과도기적으로 도입했다. 연료비 중심의 CBP시장을 2~3년 과도기로 운영한 후 2006년 도매시장 개방(배전분할)에 맞춰 양방향경쟁입찰(TWBP) 시장으로 전환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도매시장 개방이 무산되면서 과도기 시장인 CBP시장이 20년 가까이 유지돼 왔다. 그동안 공기업이 석탄과 원자력 중심으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CBP시장 중심의 전력산업은 안정적으로 운영됐지만, 민간 발전사업자의 확대와 재생에너지의 보급이 늘면서 CBP시장으론 다양한 사업자들의 요구를 반영할 수 없으며 혼란만 가져올 수 있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김성수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현재의 CBP시장은 수급계획과 가격을 결정하는 시장과는 전혀 동떨어져 움직이고 있다”며 “수급계획에서는 환경 안전 등 다양한 이슈를 고려해 진입을 결정하는데 현재 시장 운영은 변동비만을 반영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수급계획의 목표를 견인할 장기적인 가격 신호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자의 위험을 햇지할 계약시장이나 유연성 확보를 위한 보조시장 등 우리나라 전력시장은 필수적인 시장요소 마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시장 변화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12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전력거래소 주관으로 열린 ‘전력시장 워크숍’에선 시장제도 개선에 대한 발표와 함께 향후 계획이 언급됐다.

조강욱 전력거래소 처장은 “2024년 10월 실시간 시장 도입을 위해 시장제도 개선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처장은 “현재시장은 하루 전 시장만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변동성이 큰 재생에너지의 불확실성을 반영할 수 없으며, 계통운영에도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전력거래소는 실시간 시장 도입을 위한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며 계통운영의 불확실성, 재생에너지의 변동성, 제약조건 등 실제 수급여건을 반영해 실시간 시장을 2024년 10월 개설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거래주기는 5분 단위로 입찰이 이뤄진다. 실시간 시장 도입과 함께 규제가 아닌 시장을 통해 유연성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2024년 10월까지 보조서비스 시장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1%까지 늘릴 예정인 일본도 내년 용량시장 개설을 시작으로 보조서비스, 밸런싱 시장 등 다양한 시장제도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성수 한국산업기술대 교수는 “재생에너지의 증가는 시장제도 개선은 물론 요금 현실화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하며 현재처럼 지속적으로 낮은 요금을 유지하는 것은 전력산업 생태계의 몰락을 의미하며, 장기적으로 에너지전환 비용은 소비자가 부담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워크숍에서 올 1년간 전력시장 및 전력신시장 운영실적 분석과 RE100 이행을 위한 재생에너지 구매 제도 등 다양한 주제 발표가 이어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