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의 국산화 및 무역 대상국 다각화 필요성 등장

현대케미칼 혼합자일렌 생산공장 전경<본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div>(제공: 연합뉴스)
현대케미칼 혼합자일렌 생산공장 전경<본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제공: 연합뉴스)

일본이 반도체 분야에서 대한민국을 향해 가하는 경제보복 조치의 여파는 급격한 전이효과를 통해 다른 산업 분야로 옮겨갈 가능성이 크다. 이 가운데 석유화학 분야는 기초소재를 제조한다는 특성상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석유화학을 통해 탄생하는 소재로 평판 디스플레이를 제조한다. 또 일반 플라스틱보다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염화비닐도 석유화학 분야에서 나온다.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진행한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이 전한 주된 메시지 또한 일본의 경제보복 조치에 대응하는 자사의 자세다.

신 부회장은 우선 ‘일본 수출규제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수출규제) 3가지 품목은 현재로서는 전혀 영향이 없다”면서 낙관적 입장을 드러냈다.

그러면서도 그는 “어떻게 될지 단정할 수 없어 규제 확대를 가정, 시나리오 플래닝(Scenario Planning)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신 부회장은 ‘내재화’와 ‘다각화’를 키워드로 내세웠다. 그는 “LG화학의 배터리 소재를 보면 내재화하는 경우가 있고 통상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업체 2~3곳의 소재를 동시에 사용한다”면서 “수출규제 확대가 현실화한다면 원료 다각화를 통해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내재화율을 높이기 위한 양극재 공장 증설 계획에 대해서는 “청주에 양극재 공장이 있는데 이미 확장 계획이 있다”면서 “구미 양극재 공장은 구체안이 나오지 않은 상태여서 이후에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스스로 만들어 자립하는’ 길이 정답이라는 업계 관측이다. 금호석유화학이 실제 사례다.

일본이 규제 대상으로 내세운 포토레지스트(감광액)은 이미 금호석유화학이 생산하고 있다. 일본의 포토레지스트가 당분간 자취를 감추게 되면 금호석유화학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필연적으로 늘게 된다.

장기적으로는 소재의 국산화를 도모해야 하지만 당장 현재가 아쉬운 상황에서는 무역 대상의 다각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10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경제계 주요 인사 초청 간담회에서 기업인들은 화학 분야에 강점을 가진 러시아·독일과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