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 활성화 대책이 발표된 지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업계는 ESS 보험료가 4배 가까이 올라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8일 ESS 업계에 따르면 ESS를 설치할 때 들어야 하는 CMI(기관기계) 보험의 보험료가 지난해 대비 4배 가까이 올라 신규 사업을 진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하지만 지난달 11일 정부가 활성화 대책의 일부로 발표한 보험료 인하 지원 방안은 이르면 9월에나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 업계의 어려움이 쉽게 가시지 못할 것으로 예측된다.

CMI 보험이란 주로 발전 시설업체가 가입하는 상품으로 사고로 인해 기계, 건물 등에 발생하는 물리적 손해나 손실을 종합적으로 담보한다.

초기 투자금액이 많이 필요한 ESS의 경우 보험이 가입돼야 금융이 일어나고 ESS 산업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CMI 보험 인수가 ESS 산업 활성화를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이유다. 더불어 보험에 가입한다고 해도 보험료가 올라가게 되면 ESS 사업자들의 수익성이 떨어지고 ESS를 설치할 유인이 없어지게 된다.

ESS 업계는 추가적인 안전대책을 이행하기 위한 설치비용 부담이 증가하는데, 보험료가 급격하게 올라 비용 부담이 배가 됐다며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또 ESS에 대한 CMI 보험 인수 자체를 거부하는 곳도 많아 사실상 아직까지는 ESS 산업의 경색 국면이 전환되기 힘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ESS 관계 A사는 “CMI 보험 인수를 거부하는 곳도 많고 가입한다고 해도 보험료가 3MWh 기준으로 1500만원 이상”이라면서 “안전대책 이행 비용, 유지관리 비용 등을 모두 감안하면 현재로서는 경제성이 나오기 힘든 구조”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손해보험사 B사 관계자는 “기관기계보험료가 올라간 것은 사고가 많이 발생한 후 코리안리 같은 재보험사가 요율을 높게 책정했기 때문”이라면서 “정부 대책이 나왔다고 해도 안전성과 관련해서 증명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보험과 관련한 정부 대책이 현실화되지 않는 이상, 보험료가 내려갈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11일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와 함께 안전대책 및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특히 화재사태 이후 급등한 보험료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단체 보험 등을 개발해 보험 인수와 수가 인하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하나의 대표기관을 설정해 ESS를 모아 보험에 가입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보험 수가를 낮추는 방안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한 개의 보험사를 선정하기 위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단체보험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는 것은 이르면 9월, 늦으면 10월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