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6월 이후 중소형DR 프로그램이 신설됐다고 기술했다. 이로써 중소공장과 빌딩 수용가의 참여를 유도했고 수요관리사업자나 중소형 참여고객의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빌딩 특성상 분산돼 있는 소규모 자원의 수동제어 등으로 지원금 대비 비용이 상대적으로 커서 참여 동기가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프로그램은 새롭게 만들어갔으나 실제 고객과 자원은 그 보폭을 따라가지 못했다.

빌딩이 수요관리에 참여할 수 있는 용량은 적다.

비상발전기 등 자원대체의 경우 말고 실제 줄일 수 있는 부하는 50kW 조차 어렵다. 50kW면 일 년 기본지원금 총액이 약 200만원 수준이다. 이를 위해 때마다 신경 쓰고 감축요청이 오면 땀나게 뛰어다녀야 한다.

그러나 국내 10층 이상 건물만 아파트를 제외하고도 10만개 이상인데 이런 건물들이 모두 50kW 감축이 가능하다면 5GW다. 이는 원전 4기를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고 2018년 초기 최고점을 찍었던 수요반응자원 4.2GW도 넘는 양이다.

빌딩에는 자동제어시스템(BAS : Building Automation System)이 구축돼 있다. 최근에는 빌딩에너지관리시스템(BEMS :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도 중대형빌딩 이상에는 보급 되고 있다.

건물의 에너지설비를 모니터링, 스케줄링, 제어, 최적 관리하는 것이다. 수요 관리하기 좋은 툴이 될 수 있다.

물론 수요관리를 위해 구축된 것이 아니고 관리의 편의성과 요금절감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수요관리에 추가로 활용한다면 더할 나위 없이 기특한 일이지 않는가.

문제는 역시 있다. 문제가 없었으면 벌써 적용이 됐고 5GW의 마이너스 빌딩발전소가 뜨겁게 가동됐을 것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