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수지 디지털뉴스팀 기자.
정수지 디지털뉴스팀 기자.

조명업계의 끝이 보이지 않는 시장 불황, 그리고 제한된 경쟁 시장. 이 가운데서도 우후죽순 생기는 조명업체들.

점점 더 먹고 살기 힘들어졌다. 시장은 점차 축소되고 발주량도 줄고 있다. 다수 업체들이 새로운 먹거리를 찾기 위해 연구개발(R&D)에 전적으로 투자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전통 조명을 고수하는 업체들에게는 이웃나라 이야기일 뿐이다.

여기에 건설과 주택시장도 불황에 고전하면서 조명업체들의 수익 채널도 하나, 둘 막히고 있다. 이렇다 보니 업체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민수사업에서 관수사업으로 더더욱 의지하고 있다.

국방부나 관공서에 물품을 조달하기 위해 입찰에 참여하는 기업들만 300여곳 이상. 그마저도 일부는 에스코(ESCO) 사업으로 참여해야 하는 구조 탓에 제조사들의 물밑 경쟁은 굉장히 치열하다.

에스코 사업은 제조업체가 직접 입찰에 참여하는 게 아니라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을 통해 입찰에 참여하는 방식이다. 때문에 에스코 사업체가 LED제조사를 선정한 후 제조사의 제품을 가지고 입찰을 제안하게 된다.

제조사가 컨소시엄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적격 시험을 받아야 한다. 7개 시험에 대한 시험성적서를 갖춰야 한다. 물론 냉정하게 말해 준비를 철저하게 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이 소기업인데다 입찰 보장이 되지 않다보니 미리 시험을 하거나, 선투자를 하기에는 부담이 굉장히 크다.

신생업체들은 더욱 힘들다. 자격요건을 갖춰도 수행실적이 없으니 접근성이 확연히 떨어진다. 투광등 등 교체 실적을 말하는 사업 수행평가 실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무리 좋은 제품을 선보여도 후순위로 밀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제품인데도 불구, 에스코 면허(전기공사)를 가지고 있는 업체만 참여할 수 있는 부분도 문제다. 여러 제품이 경쟁해 가장 좋은 제품을 사용하자는 취지는 맞지만 한 개 제조사 제품을 다수 에스코사가 채택해 입찰에 참여하게 되면 결국 '일감 몰아주기' 아니냐는 논란도 제기될 수 있다.

결국 좋은 제품들을 가진 LED제조사들이 서로 경쟁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에스코 기업들이 제조사 선택권을 가졌다는 이유로 '갑(甲)'의 위치에 있다보니, 제조사들은 제품 경쟁이 아닌 에스코 경쟁부터 해야하는 실정이다.

이 같은 논란을 피하기 위한 방법은 한 가지다. LED제조사가 에스코 자격을 갖추고 이들이 단품목으로 경쟁하는 것이다. 선의의 경쟁을 위해서라도 에스코가 제조사들을 위해 후순위로 밀려나야 한다. 에스코는 제조사들의 좋은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는 통로이지 결코 제조사들의 갑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