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소시엄 구성 등 다각적 접근 필요

사우디 원전 예비사업자(숏리스트) 발표를 앞둔 가운데 다각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단독 수주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와의 컨소시엄 구성도 검토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도 최근 “한국이 숏리스트에 들어가면 합종연횡, 컨소시엄이 있어야 한다”고 언급해 컨소시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1400MW 규모의 원전 2기를 건설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며, 사업비 규모는 200억 달러(약 21조원)에 달한다. 이 대형 프로젝트에 도전장을 내민 곳은 우리나라의 한국전력을 비롯해 러시아(로사톰), 프랑스(아레바), 중국(CGN), 미국(웨스팅하우스) 등으로 알려졌다. 사우디는 이달 안에 숏리스트 2~3곳을 선정하고, 올해 말까지 최종사업자를 확정할 계획이다.

원자력 업계에서는 한전이 숏리스트 명단에 이름을 올릴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보고 있다. 문제는 최종사업자로 선정되는지 여부다. 이를 위해서는 미국 원자력 협정이라는 산을 넘어야 한다.

미국 원자력법 123조에 따르면 미국의 원자력 기술을 제공받는 국가가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를 재처리하려면 미국 정부와 의회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수출형 원전인 ‘APR-1400’은 미국 웨스팅하우스의 ‘AP 1000’을 기초로 개발됐기 때문에, 사우디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미-사우디 원자력협정이 먼저 체결돼야 한다. UAE 바라카 원전 수주 당시에도 계약 전 미-UAE 원자력협정이 체결된 바 있다.

사우디 원전 숏리스트 발표를 앞두고 백운규 산업부 장관이 지난달 18일부터 23일까지 엿새간 방미한데 이어 정재훈 한수원 사장이 백 장관의 방미 일정에 맞춰 지난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 미국을 방문한 이유도 미국의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황일순 서울대 교수는 “한미 컨소시엄은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사우디의 경우, 원전수출과 핵확산이 결부된 정치적 문제이기 때문에 중동의 이해와 단순 비즈니스적인 접근은 실패할 수 있다”라며 “이란과 이스라엘의 관계가 악화되면, 사우디만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허용해줄 수 없게 되고, 사우디 원전이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 이는 세계 평화의 문제로, 중동의 화약고에 불을 지피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어 “아르헨티나-브라질 핵물질통제기구(ABACC) 모델과 같은 창의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며 “사우디와 이란 양국 모두 우라늄 농축과 사용후핵연료 재처리를 허용하되, IAEA뿐만 아니라 이란과 사우디가 서로 상호감시하고, 한국과 미국이 이중으로 감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