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실증연구 활성화로 에너지 신산업 조기창출 촉진 ... 9대 전략프로젝트에 민관 공동 향후 10년간 1조3천억원 투자

에너지 신산업 창출을 위해 10년간 1조 3천억원이 투입된다. 에너지전환과 4차산업혁명에 대응해 에너지신산업 육성 필요가 높아지면서 시장 확산과 조기창출을 목표로 실증 프로젝트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이와 관련한 내용을 담은 ‘에너지기술실증연구 활성화 추진방안’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상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번 투자와 함께 종합 실증단지 조성, 실증시설 데이터베이스 구축, 규제 개선 등 실증연구 기반시설과 여건을 강화해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에너지기술 사업화에는 개발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실증연구가 필수적이지만 최근 투자규모 감소, 과제 소형화 등으로 사업 투자가 부진한 탓에 사업화율이 정체된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실제 실증연구 예산은 지난 2012년 1204억원에서 2016년 748억원으로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민관 TF를 구성,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대형, 융ㆍ복합 에너지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인프라 강화 방안을 도출했다.

이번에 수립된 추진방안은 9대 전략 프로젝트로 크게 ▲재생에너지 확대 ▲스마트 에너지사회 구현 ▲기반에너지(화력ㆍ원자력) 경쟁력 강화 3대 분야를 토대로 추진된다.

재생에너지 확대 부분에서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달성을 위해 보급을 촉진하는 전략이 실행된다. 태양광은 도입 잠재력이 높은 건물벽면, 도로면, 해상/간척지, 농지 등으로 적용입지를 다변화하고, 국내 해상풍력 기술을 3MW급에서 선진국 수준인 6∼8MW급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재생에너지의 간헐성을 극복하고 계통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구역단위 분산전원 통합관리시스템과 가스전력화(P2G)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의 실증도 추진한다. P2G(Power-to-Gas)는 재생에너지 잉여전력을 활용,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 메탄 등 가스연료 형태로 저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스마트 에너지 사회 구현을 위해서는 에너지인터넷(IoE) 기반 신산업 기술의 실증을 추진한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다수의 소규모 분산전원을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가상발전소(Virtual Power Plant) 기술, 전기차 배터리를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활용할 수 있는 차량-전력망(V2G: Vehicle-to-Grid) 기술, 사물인터넷(IoT)스마트 센서의 자가발전을 위한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이 그것이다.

에너지전환에 대응해 화력과 원자력 기술 제고도 이뤄진다. 액화 천연가스(LNG)발전소 확대에 발맞춰 발전용 가스터빈 시스템의 국산화, 석탄화력 발전소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환경설비 국산화, 고리 1호기 해체 대비 및 해체 신산업 육성을 위한 원전해체 기술의 실증이 추진된다.

정부는 연구 현장의 애로 해소를 위해 실증연구 인프라도 강화할 계획이다. 올해는 전체 에너지 연구개발 예산 대비 15.5%인 1200억원을 실증연구에 투자하고 2020년까지 20%로 확대한다. 후속 연구에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실증시설과 인증제도 현황, 과제이력 등이 포함된 실증인프라 데이터 베이스도 구축한다. 한전과 공기업이 주도하는 종합실증단지도 만들어진다.

또 재생에너지 입지 규제 해소, 전력분야의 새로운 사업모델 실증을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통해 재생에너지 3020 등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신산업 조기창출을 통해 국내 업체의 경쟁력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이행과정에서 정부의 마중물 투자에 대응한 민간의 적극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주문해 9대 전략프로젝트가 민간주도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