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기준금리가 10년 6개월만에 역전됐다. 21일(현지시각)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1.25~1.50%에서 1.50~1.75%로 인상하면서다. 한국의 금리는 1.5%로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을 앞지른 것은 이번이 역대 3번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를 두고 “시장의 예상대로 미국이 금리를 인상했지만 한국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 역시 시장이 전망했던 예측치에 부합하는 결정이 나왔으니 단기적으로는 불확실성이 해소돼 증시 상승세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자금 유출이 있더라도 유출 액수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이어진다.

다만 금리 차가 계속 벌어지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금융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다. 지금으로선 연준이 올해 기준 금리를 3차례 인상하겠다는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확답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연준 위원 15명 중 7명이 올해 4차례 금리를 올려야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드러났고 미국의 경제도 호조를 띄고 있어서다. 따라서 미국 내 경기 상황이 더 나아지고 연준 내 매파의 세력이 확장될 경우 급격한 금리 인상이 단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문제는 한국이다. 미국이 금리를 올릴 경우 기준금리 인상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우리 경제 상황으로는 금리를 올릴 여건이 안 된다. 미국에 비해 경기 회복세가 더딘데다 내수 시장도 좋지 않다. 외적으로는 국제 통상 전쟁에 처해 있다. 가계부채가 1450조원을 넘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 이자 상환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이므로 한은은 통화 정책을 수행하기가 더 어려워졌다.

이미 금융권에서는 고정금리형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올해 연말 최고 연 6%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중은행 대출금리는 미국 금리 인상과 함께 오르는 추세다. 우선은 미국이 금리를 올리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결국엔 우리도 기준금리를 올려야하는 상황에 닥칠수 있는 만큼 자영업자나 취약계층 등 기준금리 인상으로 부담이 가중될 대상을 위한 대책을 점검할 때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