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폐막한 평창동계올림픽의 하이라이트는 올림픽 마스코트인 수호랑과 하트 모양 등을 연출한 인텔의 슈팅스타 드론(Intel Shooting Star drones)이었다.

인텔은 올림픽 개막식에서도 1200대 이상의 드론으로 오륜기 등을 연출해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한 명의 조종사가 제어하는 드론 라이트쇼를 통해 새로운 엔터테인먼트를 창조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현재처럼 재사용이 가능한 드론은 1930년대 초 영국에서 개발한 포격연습용 비행체 DH-82 Queen Bee(여왕벌)를 최초로 보는 시각이 정설이다.

드론이라는 이름은 ‘여왕의 나라’인 영국에서 ‘Queen Bee(여왕벌)’라 불리는 무인비행체를 포격한다는 게 부담돼 ‘수벌(Drone)’로 명칭을 바꾸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처음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된 드론은 활용도가 점차 민간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드론은 이제 인공지능(AI), 로봇, 가상현실(VR/AR),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5G, 공유경제, 빅데이터, 블록체인, 핀테크 등과 함께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기술로 인정받고 있다.

미국 방위산업 컨설팅업체인 틸그룹은 2015년 76억 달러인 드론의 세계 시장 규모가 매년 8%씩 성장해 2023년에는 11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분석했다.

물류용에서 벗어나 전력설비의 점검·감시용, 농업용, 재난감시용, 공공분야 용도로 활용되고 있는 덕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26일 공공측량 분야에서 드론을 본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공공측량은 국가·지자체·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도로, 철도, 공항, 수자원, 택지개발·단지조성 공사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정부는 드론 이용을 위해 드론 영상을 기반으로 한 수치지도 등 공간정보 제작 방식과 성과심사 제도 개선안을 다음달까지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공측량 분야에서 드론은 운용 효용성뿐만 아니라 경제성 면에서도 탁월한 경쟁력을 지닌다.

공공측량에 드론촬영이 보편화될 경우 항공촬영 대비 약 30% 비용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정부는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드론과 관련된 각종 규제다.

세계적으로 선두권의 ICT기술과 인프라를 갖춘 우리나라가 각종 규제로 인해 드론산업이 활성화되지 못한 점은 아이러니다.

드론산업이 드론처럼 고공비행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규제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