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재부, 제3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 발표
조합원 이익 중시, 규모화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 원인

국내 협동조합들의 평균 자산과 매출, 총수입은 2년 전에 비해 늘었지만 당기순익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는 협동조합들의 사업운영·고용·재무현황 등에 대한 제3차 협동조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협동조합 실태조사는 협동조합기본법에 따라 2013년부터 2년 주기로 실시되며, 대상은 2016년 말 기준 신고·인가된 1만615개 협동조합이다.

조사결과 협동조합들의 자산·매출·총수입은 2차 조사 때와 비교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년 전 6000만원, 2억1000만원, 2억3000만원이던 자산, 매출액, 총수입은 각각 1억4000만원, 2억7000만원, 2억9000만원으로 늘었다.

그러나 당기순익은 1935만원에서 373만원으로 감소했다. 이는 협동조합 특성상 순이익보다는 조합원 이익을 중시하거나 규모화에 따른 금융비용 증가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기재부는 밝혔다.

조사대상인 1만615개 협동조합 가운데 일반협동조합은 9954개, 사회적 협동조합은 604개, 연합회는 57개로 조사됐다.

사회적 협동조합은 지역주민 권익·복리증진 관련 사업, 취약계층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 제공 등을 주사업으로 하는 비영리 협동조합을 의미한다.

사업 중인 협동조합 면면을 보면 총조합원수는 31만3000명이며, 평균 조합원수는 61.6명으로 2차 조사(46.8명)에 비해 14.8명 증가했다.

전체 종사자수는 6만9000명이며, 평균 종사자수는 13.5명이다.

평균 근로자는 4.3명으로 2차 조사(2.9명)에 비해 1.4명 증가했다.

월평균 급여(주 34시간 기준)는 정규직이 147만원, 비정규직이 92만원이다.

자금조달은 금융기관을 이용하는 비율(21.1%)보다 조합원 출자확대(42.3%), 이사진 차입(39.6%) 등 내부에 의존하는 경향이 많았다. 등기한 협동조합 중 사업을 하고 있는 조합은 53.4%로, 2차 조사(54.6%)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다.

반면 사업을 운영하지 않는 협동조합은 4447개(폐업 1453개, 사업중단 2994개)였다.

사업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수익모델 미비, 사업운영 자금 부족, 조합원 간 의견 불일치 등이 제기됐다.

기재부는 실태조사 결과 법 제정(2012년 말) 이후 5년이 경과하면서 협동조합들이 설립단계를 거쳐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고용, 지역사회 기여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다만 협동조합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낮고 금융접근성, 전문인력양성, 판로개척 등 자생력 제고 기반이 취약한 실정이라고 덧붙였다.

기재부는 이에 따라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협동조합의 성장 단계별(설립→사업화→규모화 등) 맞춤형 세부 정책을 마련, 협동조합이 사회적경제의 중심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한편 문재인 정부는 출범 이후 협동조합을 포함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규모화와 자생력 제고를 위해 ‘사회적경제 활성화 방안’과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한 바 있으며, 협동조합의 보증기준 개선, 투자펀드 조성, 투자조합원 제도 도입, 공공조달 확대, 이종 간 연합회 허용, 휴면 협동조합 해산절차 마련 등 제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