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제품 난립 우려, REC·요금할인 차등 적용 검토 필요

에너지저장장치(ESS)도 성능에 따라 신재생공급인증서(REC) 혜택이나 요금할인을 차등 적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현재는 ESS를 설치만 하면 정부 지원을 일률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최근 수년간 급성장하며 누적 보급 용량이 1GWh에 달하는 국내 ESS 시장이 올해 역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정부의 지원제도에 힘입어 ESS 시장이 성장한 만큼 당장은 아니더라도 보조금 지원방식을 손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ESS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장치로, 주파수조정(FR)용,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피크저감용, 비상발전용 등으로 활용하고 있다. 정부는 ESS 보급 확대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발표한 덕분에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을 극복했다. 지난해까지 누적 보급 용량은 1GWh(배터리 기준)에 달한다.

그동안 정부의 정책은 ESS를 단기간에 많이 보급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시장 자체가 없는 상황이다보니 우선 정부가 마중물 역할을 한 것이다. 덕분에 ESS 시장 규모가 커졌고, 제품 가격 하락도 이끌었다.

다만 앞으로는 성능을 평가해 고효율, 고품질 제품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 한다는 게 ESS 업계 일각의 주장이다. 보조금 사업이라는 인식이 만연하고, 지나친 가격 경쟁으로 인해 저가제품이 난립하기 전에 검토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

태양광 연계용 ESS의 경우 지금은 규격에 맞게만 설치하면 REC 5.0을 적용받는다. 피크저감용 ESS 역시 규격대로 설치하면 충방전 요금, 피크요금, 신재생에너지 사용량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물론 설치 후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효율적으로 제품을 구성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단순히 보조금만 받으면 된다는 사업자도 있는 게 사실이다.

ESS 업계 관계자는 “이런 정책 기조는 초기 시장에선 효과적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실 제품 난립을 부추길 수 있다”며 “일률적으로 지원할 게 아니라 성능에 따라 달리 적용해야 품질 경쟁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연계용 ESS를 설치할 때 전력변환 효율에 따라 REC를 다르게 적용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적용한 ESS에 대해선 요금을 추가 할인해주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이를 통해 저효율, 불량 제품은 퇴출시키고 우수 제품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다른 ESS 업계 관계자는 “다만 ESS 시장이 무르익을 수 있는 시간이 더 필요하기 때문에 당장 변화를 꾀하기 보다는 점진적으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