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강력한 8.2 부동산 정책을 펼치며 집값과의 전쟁을 벌였다. 투기 수요를 억제하고 실거주자에게 주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기반을 다지는 게 주목적이었다.

정책의 결과를 속단할 수 없지만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사이의 간극이 점차 벌어지면서 부(富)가 부를 불리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의 집값 양극화가 점차 심화되면서 지난해 말 역대 최고조에 달했다. 작년 한해 저가주택이 1900여만원 오르는 동안 고가주택은 1억600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4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월간 부동산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 5분위 배율은 4.5배로 집계됐다. 국민은행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지난 2008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5분위 배열이란 전체 아파트가격을 가격 순으로 5등분한 뒤 상위 20% 평균가격(5분위)과 하위 20% 평균가격(1분위)을 나눈 값이다. 고가주택이 저가주택보다 몇 배 차이나는지를 보여주는 척도다. 배율이 높을수록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양극화가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월 4.2배에서 점차 오름세를 보이다 8월 4.5배를 찍은 뒤 등락을 달리했지만 12월 다시 4.5배로 마무리했다. 지난 2014년 상반기 3.9를 유지하다 그해 8월 4.0을 넘어선 뒤 지난해 하반기부터 연일 오름세를 이어갔다.

실제로 저가와 고가주택 가격 차이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1월에서 12월 1분위 아파트 평균가격이 2억8115만원에서 3억26만원으로 오르는 동안, 5분위 평균가격은 11억8035만원에서 13억4318만원 올랐다.

즉 지난 한 해 서울에서 저가아파트가 약 1911만원 오르는 동안 고가아파트는 1억6283만원 오른 셈이다.

연이은 규제책에도 서울 평균 집값은 계속 오르고 있지만 실상은 고가주택을 중심으로 오름세가 커지는 모양새다. 이처럼 고가주택과 저가주택의 가격차이가 점차 벌어지고 있어, 서울 내에서도 서민과 중산층 사이 주거양극화가 심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힐 듯 잡히지 않는 부동산 가격에 대해 새로운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