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밸리가 지역경제 활성화를 넘어 지역분권을 위한 산업적 기반 마련이란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에너지밸리는 당초 한전이 전남 나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한전과 지역간 상생 발전의 모델로 제시됐다. 이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미국의 실리콘밸리를 모델로 에너지공기업이 클러스터를 구성한 전남 나주 인근을 에너지기업의 R&D, 제조 전진기지로 만들 계획이었다.

지난 2015년 본격 추진된 ‘에너지밸리’ 프로젝트는 현재 280여개 기업이 에너지기업들이 미래를 찾아 둥지를 틀면서 전국 혁신도시 개발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매김 했다.

한전이 내려오기 전까지 전남 나주 인근은 산업기반이 전무하다 할 정도로 기반 시설이 없었다. 한전이 본사를 이전했지만, 생산설비가 아닌 사무 업무 중심이다 보니 협력업체가 둥지를 틀기에는 명분이 부족했다. 이런 기반 환경을 한 번에 뒤집은 것이 에너지밸리다.

당초 에너지밸리를 추진할 때 우수인력 공급의 한계와 도시기반 시설 미비로 인해 계획대로 추진될까 우려도 많이 했다. 하지만 3년 가까이 지난 현재 한전은 280개 기업과 에너지밸리 협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투자금액은 1조1836억원, 7631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된다. 지난 22일에는 한화큐셀코리아 등 42개 기업과 에너지밸리 투자유치 협약을 체결했다. 한전은 이 여세를 몰아 2020년까지 500개 기업 투자 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알다시피 에너지밸리의 핵심은 기업을 유치해 생산을 유발하고, 지역 인재의 채용을 확대해 고용을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지역 업체를 육성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력에너지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광주전남 ‘에너지밸리’ 로 몰려들 수 있도록 특화된 서비스와 우수한 인재들이 모여들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시스템 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였다.

하지만 현재 에너지밸리는 인력난을 겪고 있다. 에너지밸리에 입주한 기업들이 인력채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으며, 수도권 본사 인력을 배치하려 해도 지역적으로 거리가 있다 보니, 선 뜻 에너지밸리에서 근무를 하려고 하지 않는 분위기다. 입찰을 앞두고 급하게 내려가 지역인력을 채용하지 못한 기업은 본사 직원을 웃돈까지 줘가며 데려가는 실정이라 체류비용 부담도 만만치 않다.

이미 한전은 다양한 지원대책을 마련해 금융, 생산, 구매 등 에너지밸리 입주 기업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으며,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이를 더 강화키로 했다.

문제는 부족한 인력은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찾기는 쉽지않다. 기업들이 나서야 하지만 중소기업들이 많은 에너지밸리 입주기업의 고용환경을 개선하기에는 기업들의 부담도 적지 않을 것이다.

미국의 실리콘밸리가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혁신과 창조에 가치를 두고 위험을 감수하는 모험정신의 젊은 인재들이 모여들면서 혁신적인 기업의 탄생을 이끌었던 만큼, 에너지밸리의 성공도 어찌보면 혁신적인 Start Up 기업과 젊은 인재들의 도전정신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