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올해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4%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분기 기준으로 7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1.6% 성장했다.

6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수출과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효과도 힘을 보탰다는 분석이다. 수출은 2분기 -2.9%를 기록했으나 반도체와 화학제품,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전분기보다 6.1% 상승했다. 수입도 화학제품과 원유 등을 중심으로 4.5% 증가했다.

건설투자도 좋아졌다. 우리 경제 성장세를 떠받치고 있는 건설투자는 2분기 0.3% 증가에 그쳤지만 3분기 건물건설이 늘어나면서 전분기보다 1.5% 증가했다. 반면 2분기 높은 증가세를 보였던 설비투자는 0.5% 증가해 전분기(5.2%)보다는 둔화됐다.

이에 따라 사실상 올해 3%대의 성장률 달성은 기정사실화됐다. 4분기에 전기대비 -0.54%에서 –0.18% 사이에만 있으면 3% 성장률이 가능해진다. 3%대 경제 성장은 2014년 이후 3년만이다.

우리나라는 2010년 6.5% 성장했으나 이듬해인 2011년 3.7%로 성장폭이 뚝 떨어졌고, 2012년 2.3%, 2013년 2.9% 등 2%대까지 낮아졌다. 2014년 3.3%로 반등했지만 2015년과 2016년에 연속 2.8%에 머물렀다.

올해 ‘깜짝 성장’으로 표현될 만큼 경제지표가 좋아지면서 벌써부터 연내 금리인상 가능성에 힘이 실리고 있다.

그동안 한국은행은 경기 회복세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물가수준이 2% 내외에 머무르면 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기 때문에 이제 여건이 성숙됐다는 것이다.

반면 설비투자 증가는 미진하고 민간소비 둔화는 여전하기 때문에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설비투자 증가율은 0.5%로 집계돼 지난해 1분기(-7.0%) 이래 가장 낮았고 민간소비는 추석 연휴에도 불구, 0.7% 늘어나는 데 그쳤다. 고용절벽, 주거절벽 등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경기 개선은 아직 멀었다는 얘기다.

‘8.2 부동산 대책’과 ‘10.24 가계부채 종합대책’은 투기억제, 대출억제에 초점을 둔 긴축 정책이다. 여기에 3%대 성장에 힘입어 금리인상까지 더해지면 자금이 넘쳐나던 저금리와 유동성의 시대는 끝나는 셈이다. 기업과 가계 등 경제주체가 받을 충격과 고통을 최소화하는 방법도 찾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