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의 특혜채용 의혹이 금융권은 물론 사회 전반적으로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최근 심상정 의원은 우리은행이 지난해 하반기 신입사원 공채에서 금감원, 국가정보원, 기업체 관계자의 자녀·친인척·지인 등을 특혜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심 의원이 입수한 ‘2016년 우리은행 신입사원 공채 추천 현황 및 결과’ 문건에 따르면 모두 16명의 이름과 나이, 성별, 출신학교는 물론 추천 배경이 적혀 있다.

국가정보원 직원 자녀, 국기원장 조카, 전 행장 지인 자녀 등으로 우리은행 전·현직 간부들의 추천을 받아 모두 ‘채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문건은 우리은행 인사팀이 작성했으며, 입수한 명단에 포함된 총 16명은 전원 최종 합격했다. 2016년 하반기 우리은행 공채에는 1만7000여명이 지원해 200여명이 채용, 85대 1의 경쟁률을 보인 바 있다.

특히 해당 자료에는 금감원 A부원장보의 요청으로 우리은행 B간부가 추천한 91년생 남자, 국정원 C씨 자녀로 우리은행 D그룹장이 추천한 92년생 여자 등 누구의 자녀 또는 지인이고, 어느 간부가 추천했는지 등의 정보가 상세히 나와 있다.

청년 실업이 급증하는 가운데 이번 우리은행 채용 특혜 소식은 날벼락과 같다. 대학 신입생 시절부터 토익과 학점, 봉사활동, 대외활동 등 취업의 문을 두드리며 눈물 흘리는 취업준비생들에게 자괴감을 가져다 줄 수 밖에 없는 소식이다.

정부는 특혜 의혹이 나오기 전 일자리 창출과 관련한 공공기관 채용 로드맵을 발표했다. 청년들의 구직난 해소에 적극 발 벗고 나서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하지만 실상은 결국 양질 일자리조차 공정하게 돌아가지 않는 사회로 귀결됐다.

양질의 일자리가 공정한 방식을 통해 채용된 젊은 청년들에게 돌아가고, 직장에서 벌어들이는 소득을 다시 국내 경제로 재투입하는 선순환 경제체제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