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부지・인근 해역 활용, 안전문제가 걸림돌
객관적 검증 이뤄지면 실질적 사업 착수 가능

원전 부지를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진행하는 논의가 구체화됐다.

6일 열린 학회에서 김석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풍력연구실장은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복합발전 육성전략을 발표하며 “원자력발전소가 있는 곳에는 송전선로, 변전소 등 전력설비가 이미 완비돼 있다”며 “폐지된 원전 부지를 활용해 재생에너지 발전단지를 실증하고, 안전성이 확인되면 가동 중인 원전과 신재생이 공존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실장은 해상풍력발전의 도입 가능성을 높게 평가했다. 정부의 신재생 3020 목표달성을 위해선 해상풍력 약 13GW가 추가로 필요하다. 하지만 환경 민원과 계통 접속 문제로 인해 마땅한 발전단지를 찾는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업 부지를 찾았다고 해도 발전단지 규모가 커지면 자체 해상변전소를 설치해야 하는데, 이때 소요되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이와 관련 김 실장은 “원자력발전소는 모두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고, 대부분의 원전이 밀집해 있는 동해안의 풍황도 좋은 편”이라며 “최근 폐로된 고리1호기 인근 부지에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을 검토하고, 안전문제를 적극적으로 풀어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동안 원전 인근에 신재생에너지 발전 추진의 걸림돌이 돼 왔던 것은 안전문제가 가장 컸다. 태양광패널은 차치하더라도 풍력발전의 경우 블레이드나 타워의 규모가 크기 때문에 유사시 원전에 피해가 발생하는 2차 사고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였다.

김 실장은 “원전 주변 반경 1km에 일체의 건설을 금지하고 있는 대만의 경우 마안산원전에서 불과 840m 떨어진 곳에 풍력발전기가 운영되고 있다”며 “일본 젠카이 원전에서 불과 1km60m 떨어진 지역에도 풍력발전설비가 있다. 안전에 큰 문제가 없다는 방증”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태풍 등으로 인한 풍력발전기 파손 사고에서도 대형 블레이드는 무게 때문에 아래로 떨어지고, 일부 작은 파편들만 멀리까지 날아간다"며 "블레이드가 1km이상 날아가 원자로나 1차계통을 직격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원자로와 1차계통은 유사시 보호를 위해 콘크리트보호벽 안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또 "80MW 규모의 풍력발전단지가 들어선다고 가정하고 고리 1, 2호기 등 원전과 송전선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지만 모두 안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한수원, 한전기술은 내년 9월까지 원전-신재생 연계 복합발전 기반조사 및 단지 설계기술에 관한 개발 연구를 진행중이다. 원전 안전 위해요인에 대한 종합분석을 비롯해 계통연계방안 수립, 군 레이다 간섭 등 환경영향 요인 분석, 경제성 및 사업성 분석 평가, 주민 수용성 평가 등을 세부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향후 두산중공업, 효성, 유니슨 등 국산풍력발전기(4.2~5.5MW)를 적용한 경제성 평가를 진행하고, 단지 밀집화 설계를 위한 단지 설계 최적화도 진행될 예정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한 개발행위인허가 절차 분석과 더불어 단계별 단지 확산개발 전략수립, 주민수용성 향상을 위한 주민참여형 개발전략 수립도 이뤄진다. 특히 주민수용성의 경우 지역특성을 고려해 접점을 찾는다는 방침이다.

김 실장은 "유관기관과 협력연구를 통해 풍력발전 등 신재생에너지발전단지가 원전에 미치는 영향이 전혀 없다는 객관적 검증이 이뤄지면 원자력계의 반대 명분도 줄어들 것"이라며 "검증이 끝나면 가동중단 원전 뿐만 아니라 운전 중인 원전 해역에도 해상풍력단지 조성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미 폐로가 결정된 고리 1호기를 비롯해 월성 1호기, 고리 2호기, 고리 3,4호기 등은 수명연장조치가 더이상 없을 경우 향후 7년 내에 모두 가동이 정지되게 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