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전기분야 상장기업의 올 상반기 영업이익 하락은 단순히 국내 경기의 반영인지 아니면 추세적 하락인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본지의 조사에 따르면 상장사의 대부분은 매출은 늘었는데 영업이익이 줄어든 소위 ‘실속없는’ 장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의 침체로 인한 일시적인 매출감소로 해석하는 것 보다는 전력산업 환경의 변화를 기업들이 체감하는 단계에 접어든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된다.

대표적인 기업인 한전의 경우 상반기까지 매출액 28조722억원, 영업이익 2조309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각각 3.1%, 63.4%씩 줄어든 것이다.

이 기간 동안 당기순이익은 1조 2590억원으로 전년대비 68.0% 감소했다.

영업이익이 줄어든 것은 전력구입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상반기의 SMP는 79.74원/kW이었는데 올해는 84.71원까지 상승했다. 전력구입비 상승은 지출 상승으로 이어진다.

상승원인은 LNG 및 유연탄의 국제가격이 20% 이상 올랐고, 원전을 비롯한 기저부하의 이용률이 줄면서 요금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지난해 주택용 누진제도 완화로 주택용 요금은 낮아졌다. 지출 요인은 많아졌는데, 수입요인이 줄어들다 보니 자연스레 영업이익이 뒷 걸음질 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눈여겨 볼 것은 올 상반기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한전의 영업실적은 관련기업의 실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장 기업 중에서 전선업체와 전력기자재 중소기업의 영업이익 하락이 두드러졌는데, 구리의 국제 가격 상승 등 원자재 가격상승도 중요 요인이 됐지만, 전력산업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가 더 큰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전과 발전회사 등 일부 공기업에 매출을 전적으로 의존하는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위기로 받아들여야 한다. 분석 자료를 보면 대기업 중소기업 할 것 없이 대부분 영업이익이 큰 폭으로 줄거나, 적자 전환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정부의 에너지정책 방향에서 보듯이 대규모 전력공급시설, 대형 전력계통 건설은 이제 찾아보기 힘들어 졌다. 분산전원의 확대를 통한 지역별 에너지자립 시스템 구축은 기존의 틀을 깨는 새로운 에너지 수급 방식이다. 또 예산을 투입해 중소기업을 살리는 경기회복 방식 보다는 사람에 대한 투자 즉 좋은 일자리를 통해 소비를 늘리겠다는 방식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이런 정책의 변화와 별도로 이제 우리나라는 완벽할 만큼 충분히 전력공급 시스템을 구축했다.

충분한 예비력을 바탕으로 발전소 건설은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이를 뒷 받침하는 계통설비와 배전선로의 공급도 충분해 졌다. 이제는 노후설비를 교체하는 수순에 접어들었지, 새롭게 설비를 구축한다는 것은 예상낭비라는 지적을 받을 만큼 충분해 졌다. 상황이 이런데도 많은 기업들은 예전방식에 젖어 있고, 또 이를 고집하고 있다. 이런 기업들의 미래는 어떨까 우려가 앞서기도 한다.

기업들의 출혈경쟁이 모든 기업을 같이 힘들게 하는 결과를 낳았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으며, 눈여겨 볼 것이 있다면 국내외 건설시장의 침체로 인해 건설산업의 미래를 우려하는 상황에서 주요 6개 대형 건설사들은 지난 상반기와 비교해 두배가 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는데, 이런 과도한 영업이익이 힘없는 중소 협력업체에게 돌아갈 이익을 가로챈 결과 인지도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