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이른바 ‘4차 산업혁명’에 ‘홀릭(holic)’ 중이다.

4차 산업혁명이 새로운 산업 생태계와 시대 변화, 혁신의 ‘아이콘’처럼 불리게 되면서, 정치·경제·사회 전반이 4차 산업혁명 없이는 눈길조차 받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정부 정책과 국책사업부터 산업계 움직임, 기업 혁신과 쇄신, 학교 교육까지 4차 산업혁명으로 달아오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 지능(AI)이나 사물 인터넷(IoT),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이 경제·사회 전반에 융합돼 혁신적인 변화가 나타나는 차세대 산업혁명을 말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다가오면서 다양한 산업이 초연결성, 초지능화 기반으로 융복합된 새로운 기술로 산업 구조의 지각변동이 전망된다.

이를 대비해 제조업 강국들은 새로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주도권 쟁탈 경쟁을 치열하게 진행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국가 컨트롤 타워를 발족하는 한편,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첨단산업 육성전략을 수립하고 있으며, 산학연 연계 플랫폼으로 신기술 개발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미국은 ‘미국혁신전략’과 ‘제조업혁신센터(MII)’를 중심으로 4차 산업혁명 관련 집중 투자와 기업 혁신환경 조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은 ‘제4차 산업혁명 민관회의’를, 독일은 ‘인더스트리 4.0 플랫폼’을 각각 설립해 범정부 차원의 혁신기술발전 플랜을 주도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도 ‘4차산업혁명위원회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이 국무회의 의결을 거치며, 대통령 직속의 4차 산업혁명 국가 컨트롤 타워 설립 근거가 마련됐다.

이전 정부에서도 제조업 혁신 3.0,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 등 다양한 민관협동사업을 추진했지만, 4차 산업혁명의 국가적 방향성을 제시할 만한 정부·민간 협력 조직은 없었다.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사실상 국내 최초의 4차 산업혁명 국가 컨트롤 타워인 것이다. 때문에 위원회에 대한 기대는 클 수밖에 없다.

저만치 앞서 나가고 있는 여러 선진국들의 움직임을 따라잡기에 급급하기보다, 우리만의 강점·경쟁력을 활용해 한국식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위원회가 되기를 응원한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