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 전반에 뿌리깊게 만연되어 있는 양극화 문제를 전기공사업계도 피해가지는 못한 것 같다. 한국전기공사협회가 전국 1만5000여 회원사의 실적을 집계해 시공능력평가액을 산정했는데 연간 매출액이 10억원에 미치지 못하는 전기공사기업이 전체의 약 72%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전기공사 실적은 최근 4~5년간 매년 10% 가까이 증가해왔지만, 중소 전기공사업체들은 경영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것이다. 전기공사 실적은 2013년 처음 20조원을 돌파한 후 지속성장을 이어가 지난해는 약 24조원의 실적을 신고했다. 하지만 실적상승의 과실은 상위 5%에 해당하는 758개 기업에게 돌아갔다. 전체의 53.5%인 12조7000억 원을 이들 업체들이 차지했다.

양극화 문제는 비단 전기공사업계만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사회 전반에 만연해 있으며, 국민들도 양극화 해소를 국정과제 중 최우선으로 꼽고 있다. 초대기업, 초 고속득층에 대한 증세도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의 하나이며, 어렵게 국회를 통과한 추경도 양극화 해결을 위해 쓰일 예정이다.

양극화 해소 문제는 어찌보면 자본주의 발달하면서 전 세계가 고민하는 인류의 고민이기도 하다. 지난해 미국대선 경선에서 파란을 일으켰던 버니샌더스는 미국의 상위 1퍼센트가 하위 50퍼센트를 합한 것보다 큰 소득을 올리고, 월마트 대주주 집안 하나가 소득 하위 1억3000만 미국인들보다 더 많은 부를 소유하고 있는 것을 지적했다.

전기공사업계의 양극화도 전기공사발주 물량보다 많은 등록업체 때문이라는 산술적 해석보다는 공사업계가 안고 있는 위기의 징후로 봐야한다. 공사 낙찰을 위해 후우준순처럼 생겨나는 페이퍼 컴퍼니 문제는 없는지, 특정기업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입찰제한 문제는 없는지, 또 대기업들의 저인망식 입찰 및 낙찰은 없는지 살펴 이를 바꿔야 전기공사 생태계에서 맨 아래에 있는 기업들이 활발하게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