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도전동기시장에 유통되는 노후 제품 비율 50% 넘어
전동기협의회・전기연구원, 실태조사・대처방안 마련 논의

전동기 업계가 노후제품 수거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전체 유도전동기 시장에 유통되는 노후 전동기 비율은 50%를 넘어선다.

프리미엄급 최저효율제(IE3)를 시행하고 있는 와중에도 노후ㆍ저효율 제품(IE1)이 절반 이상의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이와 관련 전동기 업계 종사자들은 “산ㆍ학ㆍ연 모두가 전동기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에 힘을 쏟고 있지만 대다수 소용량 시장에서는 노후제품에 대한 수요가 더 많다”며 “최저효율제를 강화하기에 앞서 이전에 보급된 노후 전동기를 수거하고 교체하는 게 급선무인 이유”라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전동기의 내구년수는 0.75kW에서 1.1kW 용량의 소형 전동기는 10년, 11kW까지는 12년, 110kW 규모의 중형 전동기는 15년, 370kW 정도의 중대형 전동기는 20년 가량이다.

이에 전동기 및 부품 제조기업과 재료회사, 관련 단체들이 속해있는 전동기협의회와 전기연구원이 주축이 돼 노후제품의 유통현황을 조사하고 구체적인 대응방안 마련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전기연구원 측은 “전동기협의회 발족 과정에서 노후제품 교체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했고, 이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제품 수량과 유통실태 등 구체적인 시장조사에 돌입할 계획”이라며 “기업들을 대상으로 시장조사 협조를 요청하고 각종 기관을 통한 조사일정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그는 또 “스위스와 중국 역시 2014년에는 노후 전동기의 시장 점유율이 58~65%까지 높은 수준이었지만 설비개선 노력 결과 절반 가량으로 낮출 수 있었다”면서 “우리 역시 국가적인 통계조사와 수거 정책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업계를 중심으로 실태조사를 시작하기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우리나라에 전동기 최저소비효율제도가 적용된 것은 지난 2008년 7월이다.

대기업이 주로 생산하는 45kW~200kW 용량부터 중소기업이 다수를 차지하는 0.75kW~15kW에 이르기까지 유예기간을 두며 단계별로 추진했다.

이를 위해 2005년 정부와 시민단체, 제조업체와 학계 등 20여명이 모여 고효율전동기 최저효율 추진위원회를 구성했으며, 이듬해인 2006년에는 정부와 제조업체 간 전동기 에너지효율향상협약을 체결하며 중소기업 지원방안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는 지난 2012년 5월까지 31개 모델의 유도전동기를 고효율(IE2)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고, 지난해부터는 프리미엄급(IE3) 최저효율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