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고압수전 아파트 500만호를 대상으로 AMI를 구축하는 내용의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아파트 AMI 사업)’의 3차 사업공고가 최근 마감됐다.

사업 내용은 1차·2차 사업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여전히 사업자의 수고와 비용만 들어가고 수익은 발생하지 않는 상황이 될 우려가 크다는 설명이다.

이전과 다른 점은 3차 사업공고에서는 사업 참여 희망지자체를 제시해 사업자의 부담을 줄이려는 노력을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사업자의 구미를 당기는데는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사업에 참여한 사업자도 현재로서는 막연한 기대감을 안고 운영비를 회수할 수 있는 수익모델을 찾는 실정이니 안타까울 노릇이다. 지자체도 에너지 신사업의 중요도가 커지는 상황에 맞춰 이번 사업을 염두에 두고는 있지만, 기대 효과 면에서는 “잘 모르겠다”며 고개를 갸우뚱했다.

담당 실무자의 생각이 이러니까 속도감 있게 사업계획이 나오기도 어려울뿐더러 사업추진도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이런저런 이유로 한 기업에 사업이 쏠리는 형국이지만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관들의 소극적인 자세는 결코 사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 AMI 업계 전문가는 “사업자 모집 단계에서 그 권한과 책임이 명확하지 않다보니 사업자의 판단을 어렵게 하고, 소극적인 대응으로 일관할 수밖에 없게 됐다”며 “이런 문제와 제도를 정비해 다양한 서비스 사업자나 판매사업자의 등장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일본은 AMI 구축 마무리 단계에 있고 이제 차세대 계획에 돌입했다. 그 바탕에는 활발한 논의가 있었다”고 언급했다.

결국 지금과 같은 소극적 자세를 탈피하고 사업에 동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다양한 의견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올해 계획된 아파트 AMI 구축 규모는 약 140만호에 달한다. 내년에는 320만호가 넘는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만큼 스마트그리드 미래의 핵심 요소인 AMI 사업이 외려 에너지신산업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지 않게 사업 주관기관은 적극적으로 대응할 책무가 있다.

올해 사업에서는 사업 주관기관이 선두에서 적극적인 자세로 역량을 발휘해, 지자체와 사업자의 활발한 참여와 국내 전력산업에 다양한 모델이 등장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되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