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확대될수록 ESS 시장 함께 커 나가야
ESS, 재생에너지에 필요한 유연성 확보 수단
전력망 안정화 위해서도 중요성 더 커질 것

ESS 업계는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확대 기조에 따른 ESS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충전기에 부족한 계통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ESS 업계는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확대 기조에 따른 ESS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를 통해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충전기에 부족한 계통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정부는 2017년 ‘3020 재생에너지 이행계획’을 발표하는 등 세계적인 에너지전환 흐름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후 재생에너지는 여러 논란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규모를 늘려 왔다.

2010년대 초반에만 해도 너무 높은 가격과 부족한 설비 탓에 신재생에너지의무화(RPS) 제도상 발전량의 일부를 반드시 재생에너지로 발전하거나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로 채워야 했던 의무공급사들의 어려움이 컸지만, 언제 그랬냐는 듯 최근 시장은 오히려 넘쳐나는 REC로 인해 오히려 판매에 어려움을 겪는 지경이다.

정부가 발표한 그린뉴딜 계획 역시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한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그러다보니 그린뉴딜을 신호탄으로 최근 재생에너지 관련 기업들의 기대감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경향이다.

전 세계적으로도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인류의 미래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에너지라는 인식이 크다. 앞으로 그 비율은 계속해서 높아질 전망이다.

업계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햇빛이나 바람에 의해 전력이 생산되기 때문에 비중이 높아지면 반드시 에너지저장장치(ESS)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ESS는 재생에너지에 필요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게 업계 한 전문가의 설명이다.

정부의 에너지정책에 힘입어 증가하는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등은 기존 발전설비와 달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서서히 전기생산이 중단되는 게 아니라 한 번에 멈춰버리는 설비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석탄, 가스, 원자력 발전소는 모두 엄청난 규모의 터빈을 회전시키는 구조체로 이뤄져 있다.

이 같은 특성 덕분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터빈이 한 번에 멈추는 게 아니라 천천히 속도를 줄여 전기가 단번에 끊어지는 일을 방지한다.

발전소가 하나 고장나더라도 주파수에 단번에 영향을 미치는 게 아니라 충분히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재생에너지나 전기차 충전기의 경우 문제가 발생했을 때 여유시간이 없기 때문에 주파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현재는 재생에너지의 비율이 낮은 만큼 피부에 와닿지 않는 문제이지만 정부 계획대로 20~30% 이상의 비율로 점차 시장이 확대되면 전력망 안정화가 큰 이슈로 다가올 수 있는 문제라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업계에서는 이 같은 망 안정화 이슈를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ESS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출력변동에 대응할 수 있는 속응성 자원으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정부가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수소 연료전지의 경우 대형 장주기 저장장치로서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에 소규모 단주기 저장장치 포지션으로 ESS 역할이 한층 강화돼야 한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업계가 손꼽아 말하는 재생에너지와 전기차의 확대가 ESS로 이어져야 하는 이유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이 같은 저장장치를 운영하는 데 가장 앞서 있는 나라다. 특히 배터리 산업은 제2의 반도체로 불릴 만큼 미래에 대한 가치가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 ESS를 사업화한 덕분에 배터리는 물론이고 PCS, EMS 등의 관련 장치와 소프트웨어, 설치 기술 등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성장했다는 게 업계 한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정부는 태양광 연계형 ESS가 전력망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히며 REC 가중치를 일몰시킨다는 계획을 사실상 확정지은 분위기다.

업계는 이 같은 정부 정책을 두고 “아직 성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아직까지 ESS 설치 물량이 다이내믹하게 큰 것도 아닐뿐더러 태양광이나 풍력 등 재생에너지의 비중도 10%가 안 되는 수준이어서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력망 안정화를 논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업계 한 관계자는 지적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태양광 연계형 ESS 등 정부의 ESS 정책이 점차 부정적으로 돌아서는 모양새”라며 “재생에너지가 확대될수록 ESS 시장이 함께 커가야 한다. 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진흥대책을 지속적으로 내놓을 필요가 있으며, REC 가중치 역시 일몰보다는 단계적으로 축소돼야만 산업계가 자리를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