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산업엽합회, 7~9일 경영 애로사항 청취위한 자동차업계 간담회 진행

자동차산업연합회가 7~9일 코로나19 관련 경영 애로사항 청취를 위한 자동차업계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15개 완성차 및 부품업계가 참여해 코로나19로 인한 수출수요 감소와 유동성 애로, 자동차 환경규제 강화 움직임 등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업계의 애로가 제기됐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코로나19에 따른 4~6월 수출급감(-46.7%)으로 인해 이번달부터 유동성 애로가 본격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2개월의 수출과 대금지급 시차로 인해 지난달까지는 1~3월 수출실적 대금 지급 덕분에 견딜 수 있었으나 4~6월 수출이 유례없이 급감하면서 기업이 이번달부터 유동성 위기에 놓이게 됐다고 주장했다.

자동차 부품업계는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정부 방침에 따라 고용유지에 최선의 노력을 경주중이지만 고용유지지원금 관련 신청절차의 복잡성이 조속히 해소돼야 하고 최저임금과 주 52시간제 시행도 부품업계의 어려움을 감안해 탄력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부품업체는 최저임금 결정시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과 경영 어려움이 충분히 감안돼야 하고 300인 미만 중소기업에 대한 주당 52시간 근로제 시행도 연기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환경부의 배출권 유상할당 추진 등 환경규제 강화와 관련해 부품업체는 코로나19 사태와 이로 인한 제조업 가동률 저하를 감안하는 경우 기존 환경규제를 유예해줘도 부족할 판인데 오히려 규제를 강화한다는 것은 시기상 적절하지 않고 업계의 어려움만 가중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회에 따르면 기존 규제에 더해 자동차 업계에 무상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을 유상할당으로 변경하는 경우 오는 2021~2025년 최대 2000억원 이상의 추가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연합회 측은 우리나라 자동차 판매가 대부분 해외에서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 미국, 중국 등 경쟁국에서는 시행하지도 않는 규제를 국내에서 시행하고, 이를 또 강화하는 것은 우리 기업과 외국 기업간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대결하라는 것이 되며, 우리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 회장은 “지난 4월 이후 글로벌 수요급감으로 인한 수출과 대금 수령시점 간 시차 때문에 이제부터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기간산업안정기금, 상생협약보증 등 정부의 지원대책이 현장에서 적기에 차질없이 이행돼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어 “환경규제의 경우 강화할게 아니라 한시적으로라도 기존 규제조차 유예해줄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며 “배출권 유상할당 등 추가 규제 도입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어려움이 해소된 이후 도입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