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전력관리장치, 피크관리 및 전기료 절감 효과
교육용 전기료 체계 변경 후 착각...부하관리 여전히 중요

최대전력관리장치 사용유무 비교.
최대전력관리장치 사용유무 비교.

한국전력이 매년 2억원 규모의 전력산업기반기금을 사용해 설치하고 있는 최대전력관리장치가 학교에서 방치되고 있어 관리방안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업계에 따르면 초・중・고교 학교에 설치된 최대전력관리장치가 교육용 전기요금 체계 변경 이후 방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치되고 있다는 것은 최대 피크 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즉 최대 전력수요를 제어해 전기요금을 낮춰주는 최대전력관리장치를 정상적으로 활용하지 않아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고 전기요금이 낭비되고 있었다.

최대전력관리장치란 피크 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목푯값을 넘지 않도록 실시간 자동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전력사용량이 목표전력에 다다르면 에어컨을 냉방에서 송풍으로 바꾸는 식으로 전력사용을 잠깐 제한한다. 사무용 빌딩과 학교 등 전력 소모가 많은 곳에서 활용되며 LED 등기구와 더불어 스마트한 에너지 절감 사업을 이끄는 주요 설비 중 하나로 손꼽힌다. 다수의 학교는 전력피크를 자동 제어하는 이 장치를 필수적으로 갖춰왔다.

하지만 2016년 교육용 전기 요금제가 변경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최대전력관리장치에 대한 관심이 크게 줄었다. 당월분 최대 수요 전력을 기준으로 기본요금이 산정되면서 시설 내 부하를 연중 실시간으로 관리할 필요가 없어졌다는 생각이 팽배해졌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앞서 서울교육청은 연중 최대 전력 최대 사용량을 기준으로 전기요금을 적용하는 것을 비판하며 변경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연중 최대 수요피크를 기준으로 적용된 교육용 전기요금 체계가 예산 낭비는 물론 과도한 전기료 부담을 안겨줘 어린 학생들이 '찜통교실'에서 진이 빠지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는 것. 정부는 이를 받아들여 당월 피크기준으로 교육용 전기요금 체계를 변경한 바 있다.

이를 두고 기본요금이 낮아졌다고 부하관리의 중요성이 줄어든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목표전력 제어 없는 전력사용은 전력사용량을 증가시키고 당월 피크기준도 높여 전기요금 증가로 이어진다는 것. 실제 최대전력관리장치 사용을 중지한 학교 중에는 설치 이전으로 피크와 요금이 복귀한 사례가 종종 있었다. 반면 전기요금 변경 후에도 최대전력관리장치 사용을 유지한 학교는 완화된 목표전력으로 냉난방을 충분히 하면서도 안정된 전력피크를 보였다.

업계 관계자는 “큰 비용을 들여 시작된 최대전력관리장치 보급 사업의 취지가 무색해져 안타깝다”며 “최대전력관리장치들을 필요할 때 수리나 교체할 수 있도록 연중 관리하는 등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