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요금, 계량법 등 변수…이용자 편의성 향상에도 고심

한전 전기차 충전시설. (제공 : 연합뉴스)
한전 전기차 충전시설. (제공 : 연합뉴스)

국내 전기차 누적 보급대수가 10만대를 넘어서면서 충전 시장에도 여러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환경부 완속 충전 사업이 시작됐으며 조만간 한전과 에너지공단도 급속 충전 발주를 낼 예정이다.

업계는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 및 충전 서비스 업체들이 그동안 쌓아온 업력 또는 능력치에 따라 올해 사업 수주 실적이 엇갈릴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부터 전기차 충전요금에 대한 한전 기본료 면제 혜택이 단계적으로 폐지되고 비공용 충전기의 국가 보조금까지 없어진 마당에 전기차 충전기 제조·서비스사 모두 어려움에 처할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

그동안 충전업계는 정부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사업자별 차이가 아직까지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다. 하지만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을 비롯해 충전 시장 개방, 충전기 계량법 시행 등 변수가 워낙 많은 탓에 뚜렷한 계획이나 차별화 전략이 없으면 살아남기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A 업체 관계자는 “이미 포스코ICT와 KT 등 대기업이 철수한 상황이고 지금있는 민간 충전 사업자 중에서도 도태되는 곳이 더 나올 것 같다”며 “아마도 오는 6~7월쯤이면 시장 내 새로운 질서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올해 전기차 충전업계에서는 충전요금, 계량법, 품질 개선 등이 최대 화두로 꼽힌다. 정부도 최근 이례적으로 산업부를 중심으로 회의를 소집하고 업체 대표들과 자리를 마련하는 등 충전시장 주도권 싸움에 서서히 불을 지피고 있다.

일단 기존 도매 전기의 기본료와 계시별 이용료 체계에 따라 소매요금도 기본료+계시별 요금으로 갈 수 밖에 없는데다, 올해 1월 1일부로 발효된 계량법도 현재 ±2.5% 오차 수준을 한시적으로 허용하고 있지만 조만간 ±1.0으로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그동안 급속 충전의 경우 AC계량기를 달아 최대 에너지 효율이 10% 차이가 나는 등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많았기 때문에 이를 출력단의 DC계량기 기준으로 전환하고 이에 따른 새로운 요율이 정립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한전이 충전기 품질 관리에 대한 칼을 빼들자 충전기 제조사도 긴장하고 있다. 계량기준을 1% 이하 오차인 1.0급을 요구하는데다 50kW 충전기 구매 설치에서 100kW로 전환하는 등 신뢰품목 기준을 50kW에서 100kW로 바꾸겠다고 선언해 앞으로 이를 충족하기가 더욱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B 업체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에 계량법을 적용하는 것은 앞으로 전기차 충전기 회사도 전기계량을 할 줄 알아야 한다는 소리”라며 “굳이 계량이 아니더라도 제조·서비스사업자 모두 자생적으로 자체 품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전기차 충전시설 이용자 편의성에 대한 개선의 목소리도 나온다. 유지운영에 대한 부분은 물론이고 부가적으로 교통약자에 대한 배려도 필요하다.

이와 관련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무거운 충전 케이블과 커넥터를 다루기 어려워 이를 개선하는 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참고로 시그넷이브이의 경우 커튼레인 방식을, 클린일렉스는 전동릴을 적용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충전을 할 수 있게 편의사양을 업그레이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