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EP, 수요포럼 '새로운 시대를 위한 드론과 안티드론' 개최
국내 시장 규모 확대 및 핵심 부품 국산화 관건

기술의 발전으로 드론의 활용도가 높아져 가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안티드론(Anti-Drone) 기술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왕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이동체 미래선도 핵심기술 개발사업단장<사진>은 8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개최한 제119회 수요포럼에서 ‘새로운 시대를 위한 드론과 안티드론’이라는 주제로 관련 내용을 발표했다.

강 단장은 드론 산업이 앞으로 ▲시설물 점검 ▲농약방제 ▲기상측정 수준을 넘머 ▲통신중계 ▲해양조사 ▲오염감시 ▲의약품배송 ▲앰뷸런스 ▲산불진화 ▲드론버스 등 도심비행과 원거리 수송까지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다.

강 단장은 이에 따라 기술 악용으로 인한 드론의 위험도 또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드론은 1000km 장거리 비행과 정밀타격이 가능하며 통신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비행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형 드론의 경우 가성비가 뛰어나고 장거리 정밀타격이 가능하지만 기존의 방공체계로 탐지 및 제지가 힘든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드론의 발전과 동시에 이를 제압할 수 있는 안티드론의 개발 또한 요구되고 있지만 몇몇 분야를 제외하면 국내 기술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식별을 위한 통신신호분석 기술과 무력화를 위한 조종권탈취(통신) 기술은 체계적 연구가 미비한 상태로, 초보적인 연구단계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온보드(On-Board)시스템을 통한 해킹 또한 초보적 연구개발 단계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 상태이며, 안티드론을 운용하기 위한 통합시스템은 방산기업 등이 판매중이지만 실제 운용경험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강 단장은 이처럼 드론 관련 기술 개발이 더뎌지고 있는 이유로 부족한 국내 시장 규모와 핵심 부품이 국산화 되지 않은 점을 꼽았다.

국내 드론 기업 56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체제작사 가운데 국산부품을 사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국산 대체품 부족’(17개사)을 답한 곳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성능 대비 적절한 가격’(11개사), ‘신뢰성 높은 품질(8개사)’ 등의 순이었다.

또 부품사의 경우 드론 부품의 국산화에 나서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국내 시장의 규모 부족’(11개사)'을 꼽았으며, ‘기초기술개발 역량 부족’(5개사), ‘기술개발 자금 부족’(4개사) 등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에 강 단장은 국산화율 적용품을 우선 구매하고, 농기계 등 보조금과 연계할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 국산화 개발 및 원천기술 확보를 동시에 이루기 위해 ‘국산제품 품질인증제도’를 구축하고 국산부품통합 장터를 운영할 것을 제시했다.

강 단장은 “드론 신산업 육성과 시민 안전 보호를 위한 드론택시 등 법률 재정비가 필요하다”며 “또 드론 신산업 도입에 따른 이해관계자간 이견 조정과 조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드론 운용을 위한 UTM(드론교통관리체계), 드론 이착륙장, 전용공역 등 인프라도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