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무회의를 열어 의결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사업 대상에 서부경남KTX가 포함된 가운데 경남도청 입구에 이를 환영하는 대형 펼침막이 걸려있다. (제공: 연합뉴스)
정부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국무회의를 열어 의결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사업 대상에 서부경남KTX가 포함된 가운데 경남도청 입구에 이를 환영하는 대형 펼침막이 걸려있다. (제공: 연합뉴스)

대한민국 철도는 상당수가 수도 서울을 관통한다. 이로 인해 ‘경(京)’이라는 글자가 들어간 철도가 많다. 경부선, 경인선, 경의선, 경원선, 경춘선 등이 이에 해당한다.

‘경’이 들어가지 않더라도 중앙선, 강릉선 등의 철도는 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시발역으로 한다. 즉 서울은 국가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 중 교통 부문에서도 상당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필연적인 현상이다. 2월 기준 대한민국 인구 5184만4627명 가운데 서울에만 973만6962명, 약 19%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한때 1000만 명이 넘던 인구가 줄었지만 대부분 경기도로 분산됐기 때문에 사실상 수도권에 모든 철도 인프라가 집중된 셈이다. 경기도 인구는 1326만5377명이다. 즉 2000만 명이 넘는 인구가 수도권에 거주한다.

‘말은 키우면 제주로 보내고 사람은 키우면 서울로 보내라’는 속담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듯 대한민국은 ‘서울 공화국’이라는 달갑잖은 별명을 갖기도 한다. 당장 주요 명문대학이 서울에 소재해 비수도권의 학생들도 ‘인 서울(in Seoul)’을 목표로 학습에 매진하고 사회생활도 서울에서 영위하기를 희망하는 모양새다.

개인적으로는 서울 생활이 삶의 목표 성취를 이루는 방편일 수 있지만, 국가적으로는 지방분권이 화두가 된 시대에 적절하지 않은 현상으로 지적되곤 한다.

이 같은 불균형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참여정부는 주요 정부 기관과 공기업을 비수도권을 이전했다. 각 거점 지역에 혁신도시를 마련하고 기관에 따른 인프라 구축을 유도함으로써 비수도권 활성화를 견인하고자 했다.

이 같은 현상을 반영하듯 철도 인프라에 대해서도 이제 탈서울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3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영남권 전체 광역철도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김정호 의원(더불이민주당·경남 김해시을)의 질문에 “지방자치단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고 협의하는 단계”라며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김정호 의원이 “동남권은 유통과 철도의 사각지대라고 소외감을 느낀다”면서 “전철화 사업이 필요하다”고 요청하자 김현미 장관은 “지난 2006년 국가철도망 계획을 수주할 때 일반철도로 설계된 부분이라 지하철로 하려면 필요 시설과 비용이 추가된다”고 설명했다.

김경진 의원(무소속·광주 북구갑)은 경전선 광주~순천 구간 고속전철화 사업을 조기에 마무리 짓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이 구간은 비전철 구간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버스로 1시간대 거리에 불과한 광주~순천이 기차로 가는 경우 2~3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을 일으킨다는 지적이다.

제21대 총선 인천 남동구갑 지역구 출마를 준비하고 있는 유정복 전 인천광역시장은 2018년 전국동시지방선거 당시 박남춘 민주당 후보에 패하기는 했지만, 서울과 별도인 인천의 교통 역할을 강조하기도 했다.

유 전 시장은 당시 “인천시민이 자차가 아닌 대중교통으로 비수도권 지역으로 가야 하는 경우 고속버스나 시외버스로는 서울을 거칠 필요가 없지만, 철도로는 서울역이나 광명역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면서 “더는 인천시민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데 서울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끔 인천발 KTX 시대를 확고히 구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